한국사회의 환경운동 역사와 쟁점 – 첫번째 이야기

2000.03.27 | 미분류

⑤ 한국사회의 환경운동 역사와 쟁점  -첫번째 이야기-

▶글쓴이 : 민도홍(에너지팀)
▶글쓴날짜 : 2000년 3월 17일

한국의 환경운동의 역사적 태동은 환경문제가 일어나면서부터 이다. 1960년대를 시작으로 환경 운동의 역사를 3단계로 나누어 그 흐름과 특징을 구분하였고, 대학 안에서의 환경운동의 흐름을 적어보았습니다.오늘은 그 첫 번째 이야기입니다.

-환경운동의 맹아기 (1960 – 1970년대)

강력한 국가권력을 바탕으로 경제 계발 계획이 진행되고 억압적인 유신체제라는 정치 사회적인 조건 아래 경제 개발로 인한 환경 오염 피해를 사회적 문제로 거론하는 것은 정부 정책에 반하는 반체재 활동으로 전문학자들의 양심적인 조사자료는 거의 공개되지 않았다.

이 시기는 환경운동의 인식과 개념이 부족하였으나 환경 오염 공장의 본격적인 가동으로 재산상, 건강상의 피해가 발생하였고 이에 대한 피해 보상운동이 지역 주민 중심으로 일어나는 특징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주민운동은 비조직적이고 일회적으로 일어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사회적 여론이나 외부지원 없이 고립적, 국지적으로 일어났다.

정부는 1963년 「공해방지법」 재정, 1977년 「환경보호법」 재정, 1978년 「자연보호헌장」을 선포하였으나, 개발 사업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못했을 뿐 아니라 새마을 운동의 연장선상에서 국민의 국토청결운동의 의무를 강조하는 것에 머물렀다.

녹색연합의 활동에 당신의 후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