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년전, 체르노빌 아픔이 18년동안의 핵폐기장 아픔과 닮았다

2004.04.27 | 미분류

핵발전소 사고 중 가장 참혹했다고 평가받는 ‘체르노빌 핵발전소’ 폭발사고(1986년 4월 26일 1시 23분 경으로 추정)가 일어난 지, 18년이 지났다. 사고 전까지 구 소련에서 가장 좋은 운전실적을 기록한, 가장 늦게 건설된(1984년 4월 상업 운전. 상업 가동한 지 2년 만에 대형사고 발생) 원자로에서 돌이킬 수 없는 폭발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18년 전, 체르노빌 아픔이 18년 동안 일방적으로 추진된 핵폐기장 아픔과 닮았다.



폭발사고가 발생하자, 사고지역은 물론 유럽의 전역까지 비활성 방사능 기체들이 방출되었으며, 사고 복구작업에 참여했다가 사망한 노동자들만도 1만5천 여명으로 추산된다.
또 어린이의 경우, 갑상선암 발병률이 사고 전보다 10배 이상 높아졌으며, 주부들은 시장에 식품을 사러갈 때마다 방사능 계측기를 들고 다녀야 했다.

스위스 보건 당국이 세슘 137의 잔류농도를 조사한 결과, 시중에 유통되는 돼지고기에서 허용치보다 무려 5배나 높은 세슘이 검출되는 등 체르노빌 방사능 낙진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단 한번의 폭발사고가 되돌리기 힘든 아픔과 고통을 전 지구에 가져왔다.

체르노빌 사고를 알고 있으면서도, 우리는 우리의 핵발전소 안전문제에 총체적 결함이 있음을 간과하고 지내왔다. 2003년 2월에 가동한 영광 5,6호기 발전소가 지난 한 해 동안 여러 차례 고장이 잇따른 데 이어, 열 전달 완충판이 이탈되어 5천톤의 액체 방사능이 그대로 바다로 유출된 바 있다.
또 최근에는 영광 5,6호기와 같은 한국형 원자로인 울진의 핵발전소 또한 같은 명목으로 고장이 잇따랐다. 이처럼 우리는 끊임없는 핵발전소의 위험 속에서 불안과 고통을 떨칠 수가 없다.



1986년부터 경북 영덕으로부터 시작된 핵폐기장 추진 정책은 18년 동안 한반도를 유령처럼 떠돌고 있다. 정부와 한수원의 일방적인 추진 정책으로 인해, 핵폐기장 부지 확보를 둘러싼 한국사회 갈등의 골은 더욱더 깊어지고 있다.

무리하게 진행된 핵폐기장 추진정책으로 인해 부안 지역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정부는 또다시 다른 지역을 ‘제 2의 부안’으로 만들기 위해 혈안이 되어 있다. 금품 매수, 폭력 사용 등 기존의 정부 정책을 변화하지 않는 한, 핵폐기장 부지 확보를 둘러싼 한국사회의 고통은 끝이 없을 것이다.

18년 동안 반복되어온 핵폐기장 갈등을 이제는 끝내야 한다.

정부는 지난 2월에 핵폐기장 유치공모 재공고안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재공고안의 내용을 살펴보면, 이전의 핵폐기장 유치공모와 달라진 점을 찾을 수가 없다.

지역공동체를 분열시키고, 주민갈등만을 야기해 온 현 상황에서 무조건 부지만 선정하려는 정부의 신뢰는 바닥에 떨어진 지 이미 오래다. 이제는 그 갈등을 끝내야 한다.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부의 핵 중심 전력정책을 바꿔야만 하고, 현명한 국민은 정부의 정책을 그렇게 만들 것이다.

문의 : 녹색연합 에너지담당 이버들 (02-747-8500)


녹색연합의 활동에 당신의 후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