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무장지대 일원의 생태복원이 시작되다

2009.04.06 | DMZ

비무장지대 일원의 생태복원이 시작되다

식목일을 며칠 앞둔 지난 4월 2일, 비무장지대 일원 민통선 지역의 생태복원이 시작돼 눈길을 끌고 있다. 산림청이 올해부터 민통선 산림훼손지역의 생태복원을 본격적으로 시행하기로 한 것이다.

민통선 지역은 여느 국립공원 못지않은 우수한 산림생태계를 간직하고 있다. 비무장지대가 반세기 이상 남북의 군사작전에 의해 산불의 영향을 계속해서 받아온 반면, 민통선 지역은 산불 발생이 많지 않았고 군사통제구역이라는 이유로 사람의 간섭을 덜 받은 탓이다. 비무장지대보다 임령이 높고, 일부 극상림도 나타난다.

그러나 민통선 지역에도 군사활동으로 인한 산림훼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녹색연합은 2006년부터 민통선 지역의 현장조사를 통해 이 지역의 주요 환경현안들을 파악하고 산사태 대책의 시급성과 군 폐 생활관의 생태복원을 계속해서 강조해왔다.

민통선 지역의 산림생태계를 훼손하는 가장 큰 요인은 산사태이다. 군사작전을 위해 개설된 비포장 전술도로 주변에서 광범위하게 발생하고 있다. 중동부 강원도 민통선 지역의 산사태 발생이 특히 심각해 전 지역에 걸쳐 띠처럼 발생하고 있다. 민통선 지역의 산사태는 해당 군부대에도 고심의 대상이다. 산사태는 군부대의 정상적인 작전을 어렵게 하고 장병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최근 기상이변으로 인한 집중호우가 빈번해지면서 산사태 문제는 더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다.

산사태와 함께 용도가 끝난 군 폐 생활관도 민통선 지역의 생태복원이 필요한 대상이다. 2004년 이후 전방지역의 구조개편과 현대화 사업의 결과로 사용이 끝난 주둔지와 군사시설들이 철거와 정화작업을 기다리고 있다. 220개소 정도의 기존 구형막사들은 파주에서 고성까지 민통선 전 지역에 걸쳐 폐기물로 방치되어 있어 자연경관을 훼손하고 있다.

민통선 산림훼손문제는 군사통제구역이라는 이유로 환경관리의 사각지대로 존재해왔다. 이에 녹색연합은 이 지역의 산림복원을 위한 군과 관계기관의 협력의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왔다. 이에 산림청이 육군본부와의 협조를 통해 민통선 이북지역의 산림훼손지역에 대한 전면적인 복원사업을 시작하는 것은 대단히 환영할 만한 일이다. 늦은 감이 없지 않으나 민통선 지역의 생태복원은 비무장지대 일원의 생태복원의 효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글 : 유소영 (녹색연합 녹색사회국)

녹색연합의 활동에 당신의 후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