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산국립공원 경관변화 보고서- 지리산 산사태 조사결과 발표 –

2004.10.11 | 백두대간

pic.zip

현황 및 원인
백두대간의 정점인 지리산국립공원의 핵심지역에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과 녹색연합은 지난 2003년 5월부터 2004년 9월까지 1년 4개월간 지리산국립공원 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산사태를 조사했다.

이 결과 총 29개의 대형 산사태를 현지 확인하였으며, 이 중 27개소 지역이 천왕봉을 중심으로 한 지리산 동부지역이었다.  산사태 발생지 중 26개 지역을 분석한 결과, 길이 100m 이하가 12개소(46.2%)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00~200m의 산사태(9개소, 34.6%)였으며, 400m 이상의 규모를 가진 곳도 1개소가 확인되었다. 평균 폭은 10m 이상이 23개소로 대부분 매우 넓은 폭을 가지고 있었고, 산사태발생지역의 평균경사는 30°이상으로 급경사를 나타내고 있었다. 나머지 3개소는 2004년 1월 이후 확인되어 계속 관찰 중이다. 발생한 산사태는 모두 자연형 산사태로 집중호우, 지반불안정 등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리산과 비슷한 규모의 백두대간의 타 산지보다 유독 지리산에 자연형 산사태가 다수 발생한 것은, 지리산이 집중강우를 몰고 오는 태풍의 길목인 남해안 바로 북쪽에 위치하는 지리적 조건에 연유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리산은 비구름 층이 고도 1500m 주능선을 넘을 때 집중적인 강우를 유발하는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산사태는 1차적 원인이 강우이며 2차적 원인은 지반 및 지질 상태, 3차적 원인이 지형(경사)으로 보고 있다.

백두대간과 주요 산지형 국립공원 중 지리산에 대형 산사태가 집중 발생하는 것은 지리산의 지질, 지형적 특징과 함께 기후변화의 한국적 상황에서 오는 현상으로 인식되며, 향후 국가적 차원의 지속적인 관찰과 조사연구가 요청된다. 산사태가 발생한 지역은 해발 1500m가 넘는 아고산대 식생지역에서 많이 나타났다. 이곳은 지리산국립공원의 주요 지역들로 생태적으로 가장 민감하고 보전가치가 높은 곳들이다. 가문비-구상-주목 등 고산침엽수림과 사스래나무-야광나무-신갈나무 등이 어우러져 있는 국내의 으뜸인 숲들이다. 녹지자연도 9등급 이상인 곳이다. 이런 곳에서 산사태가 발생하고 있어 더욱 각별한 관심을 갖게 된다.  

조사배경
산사태가 발생하기 시작한 것은 대략 10~15년 전부터로 추정하고 있다. 지금처럼 30개소 가까이 나타난 것은 2000년 이후부터다. 다만 발생지역 자체가 등산로와 떨어져 있거나 등산로 상에서 잘 보이지 않기 때문에 탐방객들도 거의 모르고 있었다.

천왕봉 정상에서 관찰되는 중봉 서남사면 2개소를 제외하면 대부분은 하늘에서만 관찰이 가능하다. 항공기를 이용하거나 발로 직접 7부~9부의 구석구석을 살펴보지 않으면 쉽게 확인하기 어렵다. 대부분의 국민들은 지리산국립공원 내에서 30 가까이 개에 달하는 산사태가 발생한 것을 모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지금까지 별다른 사회적 관심이나 접근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국내의 14개에 달하는 산지형 국립공원을 비롯하여 해발고도 1000m가 넘는 수십 개의 주요 산들 중 유독 지리산이 대형산사태가 많이 나타나고 있는 점은 결코 간과 할 수 없는 일이다.  

인위적인 재해형의 산사태가 아닌 자연형의 산사태가 30여 개나 발생하는 상황을 단순한 자연현상으로 넘기기에는 지리산의 환경생태적 가치와 자연자원적 가치가 너무도 크고 중요하다. 이에 국립공원관리공단 지리산사무소와 녹색연합이 함께 하여 본격적인 산사태 모니터링을 시작하였다. 하지만 전체 발생지역에 대한 기본 현황은 새롭게 파악한 전수조사의 성격을 띠고 있다. 이번 모니터링은 향후 지속적인 작업을 위한 토대마련과 준비의 성격이 강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장기적으로는 지리산국립공원에서 발생한 유례가 드문 산사태의 원인까지 규명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대책  
1. 1년에 2회 전수 항공조사 및 위성 조사를 실시하여 산사태의 추가 발생상황과 변화상황을 모니터 하는 것이 필요하다. 봄과 가을인 5월과 10월, 2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지리산 전체 산사태 발생지역에 대한 변화상을 조사하기 위해선 필수적이다. 항공조사와 위성조사를 통한 입체적인 방법을 동원해야만 산사태의 확산여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2. 발생지역은 아고산대로 지속적인 생태계 변화 모니터를 수행할 경우 민감지역의 자연복원 가능성에 관한 귀중한 데이터로 활용가능하다. 이에 산사태의 추가 진행 여부뿐만 아니라 발생한 지역의 식생을 어떻게 회복시킬 것인가에 대한 정밀한 모니터가 절실하다.

3. 현재 지리산국립공원에서는 장터목(천왕봉지역 포함 관리), 벽소령(세석지역 포함), 노고단(반야봉 지역 포함) 등 세 지역에 AWS(자동기상관측시스템)을 설치 운영 중이다. 여기서 관찰 및 축적되는 기상자료는 산사태 발생지역의 모니터링에 기초가 된다. 또한 이는 향후 타 국립공원과 백두대간에 확대하여 기상인자와 산사태와의 연관성을 조사연구하는 바탕자료가 된다. 이것이 국가적 차원에서 기후변화에 대비하는 초보적 대책이 될 것이다.  

4. 지리산의 산사태에 대해 환경부, 과기부, 산림청, 기상청, 국립공원관리공단, 한국지질자연구원 등이 합동으로 관찰하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장기적으로 관련기관 간의 정보교류와 공동 모니터링 등 협조 체계 구축을 통해 한국형 기후변화 현상에 대한 조사와 연구분석 작업이 필요하다.  

조사 경과
– 90년 중봉지역 산사태 최초 발생, 천왕봉 정상에서 탐방객들 확인
– 95년 백두대간 탐사 때 추가 확인, 97년 반달곰조사 때부터 약 10개소 본격 인지
– 99년부터 2000년 사이 항공 모니터 이후 심각성 확실히 인식
– 2000년 10월 녹색연합이 국립공원관리공단에 정밀 조사와 대책 요청
– 2000년 11월 공단 조사 및 복구 용역 착수
– 2002년 4월 녹색연합이 환경부에 전면적인 정밀 조사 요청
– 2002년 6월 녹색연합 및 관계기관 합동 모니터 및 간담회 개최
– 2003년 4월 녹색연합과 국립공원공단 정밀 조사 착수
– 2003년 5월부터 12월 사이 연인원 70명 참여, 발생지역 전면적인 파악 작업  
– 2004년 1월 정밀조사 보고서 발간
– 2004년 3월 지리산관리소 중봉지역 추가 유실 방지 위한 응급 복구 착수
– 2004년 9월 연하봉-중산리계곡 산사태 1개소 추가 확인(2003년도 발생추정)

2004년 10월 7일
녹색연합 국립공원관리공단
문의:녹색연합 서재철(019-478-3607,02-744-9025)
현장의 사진을 압축(zip)하여 파일첨부에 올렸습니다.

녹색연합의 활동에 당신의 후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