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점기에 창지개명(創地改名) 된 백두대간 우리 땅 이름 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

2005.02.28 | 백두대간

바로잡아야_할_백두대간_우리이름_보고서_요약본.hwp

녹색연합은 2005년 2월 28일(월) 오전 10시, 환경재단 기자회견실 (프레스센터 7층)에서 일제 강점기 때 창지개명(創地改名) 되어 왜곡된 백두대간 우리 땅 이름 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진행, 왜곡 된 지명 22개와 지명을 바로잡지 못하는 이유, 지명을 바로잡기 위한 대안을 제시하는 자리를 갖는다.  

녹색연합은 백두대간에 남아 있는 일제 잔재를 없애기 위해 ‘백두대간 우리 이름 바로 찾기 운동’을 진행하고 있는 바, 일제 강점기에 우리의 민족정신과 정체성을 없애기 위해 창지개명(創地改名) 된 백두대간의 이름을 되찾고자 2004년 12월부터 2005년 2월까지, 3개월 동안 백두대간이 지나가는 32개 시.군의 자연지명 (산, 봉우리, 계곡, 폭포, 마을 이름)과 행정지명을 조사하였다.  조사는 백두대간의 32개 시청, 군청, 문화원, 지역주민 현장 방문 조사와 고문헌, 고지도와 일제 강점기 이후 만들어진 지도를 비교.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지명 중 왕王을 황皇 또는 왕旺으로 바꾸어 일본 천황의 이미지를 심는 등 일제 강점기 때 왜곡 된 채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22개의 땅이름과 행정구역을 찾아내었다.  본래 우리 이름인 속리산 천왕봉 (일제 때 천황봉으로 바뀜)을 비롯하여 계룡산 천왕봉 (->천황봉), 가리왕산 (加里王山-> 加里旺山), 삼각산 -> 북한산, 설악산 토왕성 폭포 (土王城 -> 土旺城) 등과 같이 일제 강점기에 잘못 바뀐 채 지금까지도 지도에 표기하여 사용하고 있다.

■ 일제 강점기에 왜곡 된 백두대간 우리 땅 이름



또한 백두대간 산줄기와 물줄기를 통해 형성된 생활권과 문화권을 무시하고, 일제가 편리한 통치와 자원수탈을 위해 진행한 행정체제 강제 개편을 단행한 바 100년이 넘도록 그 체계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고, 자연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행정구역 개편은 지역들 사이의 환경 분쟁과 생활권의 불편을 낳고 있다.

■ 일제 강점기에 왜곡 된 행정구역



■ 지명을 바로잡지 못하는 이유

1) 이름뿐이고 실상이 없는 지명위원회 : 자연지명은 건교부가 담당하는 측량법에 따라 시.군.구 지명위원에서 담당한다.  그러나 백두대간보호구역에 포함되는 32개 시.군 위원회는 지명위원회가 절반도 되지 않은 47%인 15개소만이 구성되어 있을 뿐이며, 그 중 6곳만이 단 한차례의 지명위원회를 열었을 뿐이다. 속리산 천왕봉(天王峰)이 있는 보은군의 경우 천황봉(天皇峰)을 천왕봉(天王峰)으로 바꿔달라는 민원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명위원회가 열리지 않아 여전히 천황봉(天皇峰)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32개 시.군.구의 지명위원회의 경우 단 3건의 지명 변경 논의가 있었을 뿐이다.

2) 체계성 없는 지명 조사와 연구, 정리 : 정부에서 지명 정리에 대한 의지 결여는 행정지도와 일반지도, 국가기본도마다 차이를 낳고 있고 잘못된 지명에 대한 정리를 미루고 있다.  

3) 일관성 없는 행정체계 : 시군에서는 지명과 관련한 업무가 문화관광과, 건설과, 도시과, 지적과 등 여러 곳으로 나뉘어져 있고, 중앙정부도 지명의 종류에 따라 건설교통부, 행정자치부, 해양수산부 등 담당부처가 나뉘어져 있다.

4) 한글, 한문이 혼재된 지명 표기 및 구체성 있는 지명 표기와 정비 원칙이 없으며, 일제 강점기 행정구역을 변경하지 않고 있는 점이다.

■ 왜곡된 지명을 바로잡기 위한 대안

1) 지명 변경사례의 교훈을 계승.
지난 1995년 광복 50돌을 맞아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일제지명을 조사 정비하여 인왕산(仁旺山)’을 ‘인왕산(仁王山)’으로, 2002년 ‘발왕산(發旺山)’을 ‘발왕산(發王山)’으로 바꾼 사례와 일제 강점기 때 빼앗긴 땅이름을 지역 주민이 다시 찾은 사례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축전리 -> 산양리)를 교훈으로 지명 변경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2) 전문가 조사를 통한 매뉴얼 작업 필요
제대로 된 지명 조사를 위해 정부에서 예산과 인력 지원 방안을 마련, 조사 틀을 만들어 통일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와 함께 주민 설문조사, 공청회 등의 절차를 통해 주민 공감대를 형성하여야 한다.

3) 사전 지명조사제도의 법제화
100년 전에는 일제 식민지였기 때문에 땅 이름이 바뀌고 사라졌다면, 지금은 개발사업으로 인해 고유의 지명이 사라지고 있다. 땅의 형태가 달라지는 댐, 도로, 간척사업 같은 국책사업이 있을 때 지명을 먼저 조사해서 기록으로 남길 수 있는 ‘사전지명조사 의무제도’를 만들어야 한다.

4) 통일 조국에서의 지명을 위한 노력 필요
북한은 분단 이후 32차례에 걸쳐 행정구역을 개편하고 지명의 한글화 작업을 진행했다. 우리나라 역시 행정구역 개편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는 시점에서 광복 60돌을 맞이하는 해, 일제 잔재 청산과 함께 다가올 통일 국가의 행정구역과 지명 정비를 위한 남북 논의의 장을 마련해야 한다.

5) 우리지명의 국제성 있는 통일을 위한 노력 필요
지도는 국내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므로 지명의 국제 통일 작업이 필요하다. ‘동해(東海)’는 19세기 전반까지만 해도 ‘동해’, ‘한국해’로 표기되어 왔으나, 지금은 일본의 노력으로 일본해(Sea of Japan)로 통용되고 있는 형편이다. 이제라도 고지도와 역사 속 검증 작업을 통해 잃어버릴 위치에 처한 우리 지명의 국제통일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녹색연합은 KTF 백두대간 보전기금으로 만든 ‘바로 잡아야 할 백두대간 우리 이름 조사보고서’를 발행한 바, 기자회견장에서 배포할 예정이며, 기자회견 후 국토지리정보원을 방문하여 ‘일제 강점기에 왜곡 된 백두대간 우리 땅 이름을 바로잡아 줄 것을 요청하는 청원서’와 ‘백두대간 지도 표기를 위한 시민들의 청원서’를 제출 할 예정이다.

2005 년  2 월  28 일

문의 : 백두대간보전팀 정용미 팀장 (011-9585-3494, pis715@greenkorea.org)
         백두대간보전팀 조회은 활동가(019-9250-6230, plain@greenkorea.org)

첨부 : 바로잡아야 할 백두대간 우리이름_보고서 요약본
관련사진 : 웹하드( http://www.webhard.co.kr ) ID:greenku, PASS:8500 접속
               GUEST 폴더/내리기전용/백두대간우리땅이름조사기자회견 폴더에 있습니다.




녹색연합의 활동에 당신의 후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