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4대강 수질 개선되지 않았다

2012.07.25 | 4대강

4대강 수질 개선되지 않았다

○ 환경부는 23일 보도 자료를 통해 “2012년 상반기, 극심한 가뭄에도 4대강 수질은 대폭 개선”이라 주장했다. 예년에 비해 강수량은 83% 이지만 4대강 주요 지점 및 16개 보 주변에서 사업 전보다 최대 79% 지역에서 수질이 개선됐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적극적인 수질개선과 관계기관 협조체계 구축의 효과”라 밝혔다.

○ 환경부가 밝힌 수질 개선 사례는  ▲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평균값 2.6㎎/L에서 2.1㎎/L 개선 ▲ 총인(T-P) 전체 평균값 0.149㎎/L에서 0.083㎎/L 대폭 감소 ▲ 클로로필-a(Chl-a) 사업 전 22.9㎎/㎥ 올해 평균값 22.0㎎/㎥로 약간 감소 등이다. 환경부는 16개 보에서도 BOD 평균값이 3.2㎎/L에서 2.8㎎/L로 13% 감소, 총인 0.201㎎/L에서 0.114㎎/L 43%, 클로로필-a는 38.1㎎/㎥에서 33.1㎎/㎥ 13% 등으로 개선 됐다고 밝혔다.

○ 환경부의 이번 발표는 23일(월) 국회 대정부 질문을 앞두고 배포한 자료라는 점에서 의도가 드러나 있다. 4대강에서 ‘녹차라떼’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극심한 녹조현상이 벌어지고 있는데, 환경부는 이를 의식해 수질이 개선됐다고 주장한 것이다.

○ 환경부의 주장에 근거가 있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오류가 있다. 우선, 가뭄에 대한 착시 현상을 악용하고 있다. 실제 가뭄은 5 ~ 6월에 집중 됐을 뿐이며, 올 3~4월은 예년에 비해 적지 않은 비가 내렸다. 이런 상황에서 가뭄에도 수질이 개선됐다는 전제는 성립되지 않는다.

○ 환경부는 2007년~2009년 평균과 올 6개월간의 평균을 비교 했다. 부산 가톨릭대 김좌관 교수는 “단기적 자료를 이용할 경우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김좌관 교수는 정부 주장과 달리 4대강 지점별로 수질이 나빠진 사례가 존재한다면서 다음과 같은 분석 자료를 제시했다.

○ 김좌관 교수는 “낙동강은 증가 추세, 한강은 유기물 증가 추세”라 지적하면서 “10년 전, 5년 전, 최근에 각기 오염원 제어수준(하폐수처리 시설 증설 및 고도화)이 점차 나아지고 있음을 반영해야만 최근 보와 준설로 인한 수질 변화수준을 상대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 것” 이 말했다. 하수처리장 등 환경기초시설 10년 전에 비해 크게 증가했음에도 수질이 개선되지 않은 것을 평가해야 한다는 것이다.

○ 환경부의 이번 발표는 현장에서 잇따라 확인되는 극심한 녹조 현상과는 심각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앞서도 언급했듯이 ‘녹차라테’란 신조어가 생길정도로 상황은 심각했다. 실제 마산창원진해 환경운동연합이 낙동강 본포취수장 인근에서 지난 7월 초 채수해 김좌관 교수에게 의뢰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총인(TP)과 총질소(TN) 모두 극심한 부영양화 상태라는 것이 드러난다.

○ 본포 취수장 상▪하류 지역에서 분석한 총인(TN)의 평균은 8.51 mg/L은 총인의 부영양화 기준 0.6~1.5 mg/L(Forsberg & Ryding, 1980)의 최대 14배가 넘는 수치이며, 총인(TP) 평균 0.56 mg/L 역시 부영양화 기준 0.025~0.1 mg/L (Forsberg & Ryding, 1980)의 최대  22배에 이른다. 부영양화 상태가 되면 조류가 성장해 수 표면에서는 산소 과포화 현상이 발생하고, 강바닥에서는 산소 결핍 현상이 일어난다.

○ 부영양화에 따라 수처리 비용이 크게 증가할 수밖에 없다. 녹조현상은 주로 강의 가장자리에서부터 형성되는데, 먹는 물 취수구 역시 물 가장자리에 많아 정수 과정에 약품 과다 투입 등이 발생한다. 이에 대해 김좌관 교수는 “하천유량을 증대시켜 수질을 개선한다고 하나, 이미 긴 체류시간 탓으로 조류번무가 생긴 물을 하류로 방류한다고 해서 수질개선이 이루어질 수도 없다”고 밝혔다.

○ 전반적으로 이번 환경부 발표는 명확하지 않은 것이 많다. 4대강의 중권역을 대상으로 수질이 개선됐다고 하지만 한강 중권역 22개 중 4대강 공사 구역은 단 1지역이며, 낙동강의 경우 33개 중 7지역에 불과하다. 어느 지점을 대상으로 분석했는지 밝혀야 한다. 또한 이번 환경부 발표는 COD가 빠져 있는데, BOD와 COD를 동시에 확인해야 수질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16개 댐(보)의 수질 분석은 과거 동일 지점에서 분석 한 자료가 없었기에 어느 지점과 비교 했는지를 밝혀야 한다.

2012년 7월 22일

4대강복원범국민대책위원회

녹색연합의 활동에 당신의 후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