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 강원에 ‘화력발전단지’ 안될 말

2012.01.11 | 탈석탄

강원도에 발전소가 떼로 건설될 처지다. 지난달 23일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새 핵발전소 후보지로 삼척과 영덕을 선정했다. 여기에 강릉과 동해, 삼척 근덕면 등에 모두 8개의 화력발전소 건설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발전소가 많이 들어서면 강원도 살림살이가 나아질까? 기술이 발전했다지만 발전소가 들어서면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은 피할 수 없다. 또 증설될 가능성도 높아진다. 실제 충남 당진, 태안, 보령 등 화력발전소가 지어진 곳에서는 증설이 잇따르고 있다. 발전소 못지않은 갈등을 빚는 송전탑도 더 세워야 한다. 강원도는 태백~가평 765kV 송전탑 때문에 홍역을 치렀다.

지난해 9월15일 있었던 순환 정전과 겨울철 전력난으로 발전소 추가 건설에 힘이 실리는 듯하다. 그러나 우리 사회의 전력난은 발전소가 모자라서가 아니라 너무 전기를 많이 쓰는 데 따른 것이다. 우리의 1인당 전력소비량은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보다 높다. 국민 소득은 일본의 절반밖에 안 되는데 전기는 더 많이 쓴다. 산업계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에너지원으로 전기를 마구 사용하기 때문이다. 전력 부족에 대한 대안은 절전과 효율 향상을 통한 수요 관리에서 찾아야 한다.

강원도에서 생산한 전기의 주요 사용처는 수도권이다. 서울의 전력자립도가 채 1%가 되지 않는 것을 생각하면 도시에서 전력소비를 줄여야지 지역에 발전소를 지어서 해결할 일이 아니다. 전력 생산에 대한 부담과 고통은 고스란히 지역 주민들에게 전가된다. 더욱이 핵발전소는 후쿠시마에서 보듯이 사고가 나면 반경 20~30㎞는 사람이 살 수 없는 곳으로 변한다. 항상 위험부담을 떠안아야 하는 핵발전소는 더 이상 지어서는 안 된다.

지역경제 효과도 당장 건설경기는 활성화될 수도 있겠지만 장기적인 일자리 창출 효과로 이어지진 않는다. 환경문제와 송전탑으로 피해를 보는데다 발전소 건설을 둘러싸고 지역이 갈등하면 지역 발전을 위한 소중한 자원과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다른 지자체가 지역공동체에 기반을 둔 지속 가능한 발전을 준비하는 만큼 강원도는 뒤처지게 될 것이다.

강원도 하면 바로 ‘청정’이라는 단어가 자연스럽게 떠오른다. 그런데 ‘청정’이라는 단어와 핵발전소, 화력발전소는 참 안 어울린다. 강원도의 발전소 건설바람, 청정 강원의 미래를 위해 재고해야 한다.

이유진/녹색연합 녹색에너지디자인팀장

한겨레 지역 [강원]에 1월 11일자로 실린 글입니다

녹색연합의 활동에 당신의 후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