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군 소음피해 관심 없는 19대국회의원후보자 명단 발표

2012.04.12 | 군기지

군 소음피해 관심 없는 19대국회의원후보자 명단 발표

– 대다수의 후보자들 120만 군 소음주민피해에 관심 없어, 20%로만 답변 –

전국군소음피해주민네트워크는 지난 4월 3일부터 6일까지 5일간, 군용비행장과 군용사격장이 위치한 지역의 19대 국회의원 후보자를 대상으로 피해주민들을 위한 공약질의서를 보내 답변을 받았다. 질의서의 주요 내용은 군소음피해에 대한 공약 여부, 2009년 정부가 발의한 군소음특별법의 계류 인식 여부, 정부가 제시한 군소음 특별법의 85웨클기준이 아닌 75웨클 기준에 해당하는 3종 구역 포함여부, 정부의 군소음특별법이 개선되어야 할 점 등이었다. 이에 대해 수원, 광주, 대구 등 총 8개시 2개 군에 해당하는 지역구를 대상으로 총 71명 후보자들에게 질의서를 보냈다. 그 결과, 약20%에 해당하는 16명에게서만 답변이 왔을 뿐 나머지 후보자들에게는 답변이 없었다.

답변에 응한 후보자들은, 지난 2009년 정부가 발의한 군소음특별법 피해대책기준(85웨클)에 대해 민간항공기 피해기준(75웨클)과 형평성문제를 가장 큰 문제로 지적 했다. 정부안이 채택 될 경우에는 약 90만 명의 군 소음피해자에 대한 지원이 사라지게 된다. 현재 정부가 발의한 군소음특별법이 지역주민들의 의견은 무시한 채 국방부의 책임회피를 위한 법안일 뿐이라는 의견과, 피해주민들을 위한 보상대책과 소음으로 인한 질병 및 정신적 피해에 대한 보상 근거가 실질적으로 명시되어야 한다고 다수가 답했다. 당선 이후의 활동방향계획과 관련되어서는, 공항이전과 소음피해 지역 보상 범위 확대, 실효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법률제정 순으로 나타났다.  

< 군용비행장 및 군용 사격장 피해주민들을 위한 대책 없는 후보자 명단 >

강릉시 권성동, 강릉시 송영철, 고창군 부안군 김만균, 고창군 부안군 김춘진, 광주 광산구갑 김영성, 광주 광산구을 이용섭, 광주 성구을 이점자, 광주 서구을 이정현, 광주 광산구갑 장원섭, 광주 서구을 정남준, 광주 서구갑 정용화, 광주 광산구을 황차은, 군산시 김관영, 군산시 박상준, 군산시 신영대, 군산시 채용묵, 대구 북구갑 구본항, 대구 북구갑 권은희, 대구 수성구 갑 김경동, 대구 수성구 갑 김부겸, 대구 북구을 김충환, 대구 수성구을 남칠우, 대구 북구을 서상기, 대구 북구갑 양영모, 대구 북구갑 이명규, 대구 수성구 갑 이연재, 대구 수성구을 이원기, 대구 북구을 이찬진, 대구 수성구갑 이한구, 대구 수성구을 정기조, 대구 수성구갑 정재웅, 대구 수성구을 주호영, 보령시 서천군 김태흠, 보령시 서천군 류근찬, 보령시 서천군 엄승용, 보령시 서천군 윤정홍, 사천시남해군하동군 김일수, 사천시남해군하동군 여상규, 사천시남해군하동군 이방호, 평택시갑 김기홍, 평택시을 김연식, 평택시갑 원유철, 평택시갑 이근홍, 평택시을 이세종, 평택시을 이인숙, 평택시을 이재영, 수원시병 김영진, 수원시을 유근만, 수원시병 이중화, 수원시을 정미경, 원주시을 이강후, 원주기갑 김기선, 원주신갑 김진희, 원주시을 송기헌, 원주시을 이재현, 원주시갑 김대천, 문경시 예천군 이한성, 문경시 예천군 최영록, 문경기 예천군 신현국

그러나 어떤 대안도 마련하지 않고 무응답한 후보자가 55인에 달했다. 이러한 이들의 태도는 지난 50년동안 국가안보라는 이름으로 피해를 인정받지 못한 전국 120만명의 피해주민을 우롱하는 처사이자 무시하는 행동이다. 무응답한 후보자 55인은 군소음에 피해 입은 주민을 대표할 수 없는 후보자들이다.

전국군소음피해주민네트워크는 군용비행장 및 군용사격장 피해주민들을 위한 대책 없는 후보를 원하지 않음을 천명하는 바이며, 피해지역 유권자들에게 군소음 문제에 관심 없는 국회의원 후보자 명단을 알릴 계획이다.

군소음특별법은 지난 20여 년 동안 예산부족 등의 이유로 통과되지 못하고 있다. 국방부는 사회적으로 합의될 수 없는 내용을 제시해 불필요한 논쟁을 야기하고 있으며, 해당지역 국회의원들은 제정될 수 없는 법안으로 생색내기만을 하고 있다. 과정에서 발생된 모든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들의 몫으로 돌아왔었다. 제 19대 국회의원선거에서 정책질의가 가진 의미는 과거의 논란을 정리하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소통의 목적이었다. 정부와 주민간의 수십 년 계속되는 갈등을 풀기 위해서라도, 19대 국회의원들에게 군소음 문제에 대한 정책을 마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군소음 피해 해결을 위한 정책질의에 무응답, 무정책으로 일관한 후보자들은 깊은 반성과 해명을 해야 할 것이다.

2012년  4월 9일

전국군소음피해주민네트워크

※ 문의 : 녹색연합 평화행동국 정인철 (jiguin@greemkorea.org)  
                                          김혜진 (saturn0825@greenkorea.org)

녹색연합의 활동에 당신의 후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