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표 용산 어린이정원에서 상식을 회복하기 위하여

2025.07.07 | 군기지

용산 어린이정원 야외 전시물 탄핵 전후 변화
용산 어린이정원 어린이생태교육관 내부 전시물 탄핵 전후 변화

윤석열이 용산 대통령 집무실을 떠나면서, 바로 앞에 조성된 용산 어린이정원에서도 우상화 전시물의 흔적이 지워졌다. 하지만 아직 지워지지 않고 남아 있는 것이 있다.

알다시피 이 어린이정원은 용산 미군한테 반환 받은 부지 일부에 조성된 곳으로, 2021년 환경부와 미군의 위해성 조사 결과, 인체에 치명적인 오염물질이 국내 토양오염 관리 기준을 크게 초과했던 곳이다.

그럼에도 윤석열 정부는 임기 내내 제대로 된 정화를 하지 않은 채 “15cm 흙으로 덮고, 꽃과 잔디를 식재”했으니 안전하다는 공식 입장을 냈다. ‘임시 개방’한 지 2년 여가 지난 현재까지도 오염 정원은 시민에게 그대로 개방되고 있다.


용산 어린이정원 잔디 광장에서 뛰어노는 아이들

시민단체 등은 하루빨리 폐쇄해야 마땅하다고 지적하지만, 올해도 주무 부처인 국토교통부는 어린이정원 운영을 위해 187억의 예산을 배정했고, 문화체육관광부는 155억 규모의 ‘어린이 예술 마을’ 조성 사업을 진행 중이다. 최근 건축 설계공모에서 당선작을 뽑았고, 곧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한다.

또한 서울시교육청은 이곳을 ‘거점형 늘봄학교 1호’로 지정해서, 인근에 있는 한강초, 원효초, 서빙고초 1학년 학생들이 방과후 돌봄 교육을 받도록 하고 있다. 정부가 시민을 오염 공간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은 상식이지만, 정반대로 위험에 노출시키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21대 대선 기간 삼각지역 인근에 걸린 이재명 대통령 유세 현수막

더이상의 파행을 막기 위해서는 이재명 정부의 결단이 필요하다. 지난 대선 기간, 용산 삼각지역 인근에는 ‘용산국가공원 시민에게 완전 개방 추진’을 내건 이재명 대통령의 유세 현수막이 걸려 있었다.

대통령이 대표로 있던 시절, 민주당은 윤석열 정부 임기 내내 오염된 용산 어린이정원 문제에 대응해왔다. 그런 만큼, 당장 시급한 일은 이 공간에 투여되고 있는 국토부와 문체부의 예산을 집행 정지 시켜 정부로서의 역할을 다하는 것이다. ‘용산국가공원 완전 개방’은 용산 미군으로부터 전체 기지를 반환 받은 뒤, 제대로 된 오염정화를 거치고 나서 진행해도 늦지 않다.

21대 대선 기간 삼각지역 인근에 걸린 이재명 대통령 유세 현수막

혼란을 막 딛고 일어선 만큼, 용산 대통령실과 종로에 위치한 국정기획위원회 건물 앞에서는 날마다 기자회견이 열리고 있다. 불과 얼마 전까지 숨 가쁜 시간 속에서 내란 저지와 탄핵을 위해 수많은 시민의 뜨거운 목소리가 모아졌지만, 이제 엉킨 과거를 넘어, 새로운 한 걸음을 내딛기 위해 이재명 정부에게 이야기를 건네고 있는 것이다.

이번 전환기에 새로운 정부에 오염된 용산 어린이정원 폐쇄를 요구하기 위한 시민 서명 캠페인도 진행되고 있다. 시민의 안전과 어린이의 미래를 지키기 위한 서명에 관심 가져주시길 바란다.

그린프로젝트팀 박상욱 활동가

*이 글은 오마이뉴스에도 실립니다.

용산 어린이정원 개방 중단을 위한 시민 서명(https://campaigns.do/campaigns/1538)

녹색연합의 활동에 당신의 후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