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도시의 새를 얼마나 만나 보았을까요? 까치와 참새, 비둘기 외에도 도시에는 다양한 새들이 숨죽여 살고 있습니다. 그 새들이 살기에 도시는 어떤 공간일까요? 수많은 건물과 방음벽, 유리 난간이 가득한 도시는 우리에게 익숙하지만, 새들에게는 죽음의 벽이 되고 있습니다. 새는 유리를 보지 못합니다. 주변 환경이 반사되거나 투명하게 비치는 유리를 향해 빠르게 날아가다가 대부분은 죽게 되지요.
올해 9월부터 11월까지, 이 문제를 직접 알아보고 바꾸고자 일상에서 틈틈이 유리벽을 살펴본 시민들이 있습니다. 도시에 살고 있는 새를 알아보면서도 시간을 내 도로변, 유리 빌딩 아래 등을 살피며 사라진 새들의 충돌 흔적을 기록하고, 때로는 사체를 발견하고, 죽음에 책임 있는 기관에 직접 목소리를 전달한 새벽액션단입니다. 3개월이 짧을 수도 있지만, 매일의 작은 관찰과 실천이 도시의 변화를 촉구하는 한 걸음이 될 것입니다. 올해 새벽액션단 활동에 함께한 분들의 후기를 소개합니다.
세 번째 후기. 참가자 윤바다 님
출퇴근길에 지나다니곤 하는 하천 다리가 있습니다. 어느 날 다리가 시작되는 일부 구간에 5×10 점자 스티커가 붙어있길래 반가워했는데,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그 이상 점자 스티커를 붙이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나머지 구간도 스티커를 붙여달라고 민원을 넣어볼까 생각하던 와중, 녹색연합 카카오 채널에서 새벽액션단 모집 글을 봤습니다. 출퇴근길에도 가볍게 할 수 있을 거 같았고 고민하던 민원 교육도 받을 수 있다고 하여 신청했습니다.
새들이 유리 방음벽에 부딪쳐 죽는다는 건 알고 있었지만, 교육을 통해 방음벽뿐만 아니라 생각보다 정말 다양한 유리 구조물에 부딪혀 죽는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교육을 받고 첫 새 충돌 관찰 모니터링을 하면서 충돌 흔적을 보게 됐을 때는 마음이 정말 울렁거렸습니다. 아무렇지 않게 다니던 다리에 이렇게 죽음의 흔적이 많았을 줄은 상상도 못 했습니다.
물총새 사체를 보게 됐을 때가 아직도 생생히 기억에 남습니다. 다큐멘터리로만 봤던 물총새가 제가 항상 지나다니던 유리 난간 밑에서 죽어있는 모습이 너무 비현실적이었습니다. 이런 생생한 죽음을 목격하게 되니 사방에 있는 유리들이 모두 무섭게 보였습니다. 더 이상의 희생을 막기 위해 꼭 민원을 넣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좌) 유리창 충돌로 죽은 물총새 (우2, 3) 유리창 충돌 모니터링 모습
민원 교육을 듣고 처음 민원을 넣었을 때는 굉장히 마음이 떨렸었습니다. 사실 매우 소심한 성격이라 민원을 제출하기까지 내용을 썼다 지웠다 하며 굉장히 오래 고민했습니다. 그래도 내 행동으로 더 이상의 허망한 죽음을 막을 수 있지 않을까 싶어 용기 내어 제출했습니다. 이제 한번 넣어봤으니, 앞으로는 주저 없이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 새벽액션단 활동을 통해 유리가 새들에게 얼마나 위험한지 제대로 알게 되었고, 또 어떻게 나서야 하는지 배울 수 있어 정말 유익했던 시간이었습니다. 이번 활동이 끝나더라도 계속 일상에서 행동해 나갈 것 같습니다. 요즘엔 유리로 된 구조물을 지날 때는 유심히 살펴보는 버릇이 들었습니다.
좋은 기회를 만들어 주신 녹색연합 활동가분들께 정말 감사드리고, 다음에도 이런 활동이 있다면 참여하고 싶습니다!
👉 또 다른 후기(김 혁 님_생명의 무게는 다르지 않음을 알기에) 보러가기
👉 또 다른 후기(김영준 님_작은 행동들이 모여 큰 변화를 만들기를!) 보러가기
이외에 새벽액션단과 함께한 다양한 활동 사진💻


여름의 올림픽공원에서 새를 만나고, 올림픽 공원역에서 새 충돌 모니터링을 했어요.
유리가 있는 곳에서 어김없이 발견된 새의 죽음을 기록했습니다.

국립생태원 김윤전 전문위원과 알아본 새충돌 현황과 법 제도 교육


광주 동물권 단체 성난 비건 대표에게 ‘말하는 시민-되기’도 배워보았어요


에코샵홀씨 고대현 대표님과 창경궁에서 새를 보고 도감도 살펴보기🦆
새벽액션단은 각자의 자리에서 모니터링과 민원 제기를 틈틈이 이어갑니다!
정리. 녹색연합 이음팀 변인희 활동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