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더운 여름. 창문을 활짝 연다. 시원한 바람이 볼을 간질인다. 창밖에 녹색으로 짙게 물든 푸른 산이 보인다. 2015년 늦여름, 백두대간을 흠뻑 담았던 때를 추억해본다.
2015년은 백두대간을 보호구역으로 지정한 지 10년이 되는 해였다. 녹색연합은 700km가 넘는 대장정을 함께 할 백두대간 탐사대를 모집했다. 2015년 9월부터 약 70일동안 강원도 고성군 향로봉에서 지리산 천왕봉까지 두 발로 걸으며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실태’를 조사했다.
백두대간 탐사대는 매일 새벽 5시에 일어나 산행을 준비했다. 지도와 GPS 등 조사 장비를 챙기고 도시락과 물, 간식도 챙겼다. 각자 배낭 안에 물건들을 나누고, 차를 타고 조사 지역으로 이동했다. 나는 길잡이였다. 맨 앞에서 GPS와 지도를 보면서 백두대간 주능선 길을 찾고, 보폭을 계산해 200m마다 조사 지점을 정하는 역할이었다. 다른 한 사람이 지형과 해발고도 등 입지조건과 등산로폭, 나지노출폭, 침식 깊이 등을 측정해 불러주면 또 다른 사람은 그 내용을 야장에 기록했다. 그리고 나머지 두 사람은 조사 지역 사진을 찍고, 시설물을 조사했다. 이렇게 5명이 70일동안 백두대간의 아픔을 기록했다.
…(중략)
백두대간은 등산로 말고도 많이 파괴되고 있었다. 백두대간을 훼손하는 시설은 모두 270곳이 넘는다. 높이가 872m였던 자병산은 채석 광산 개발로 과거보다 100m가 주저 앉았다. 그리고 백두대간을 약 8km마다 관통하는 도로, 산림을 광범위하게 훼손하는 댐과 광산, 이용자 없이 애물단지가 된 스키장, 고랭지 채소밭과 목장, 군사시설 등이 백두대간을 어지럽히고 있었다. 탐사대는 훼손지를 볼 때마다 “이게 보호구역인가?”라는 한숨 섞인 말을 내뱉었다.
백두대간 탐사를 시작한 지 20일이 넘어서야 강원도 태백산 도래기재에서 ‘백두대간 보호지역’이라고 적혀 있는 안내판을 만났다. 그동안 ‘백두대간’이라는 안내판은 많았는데, 여기가 ‘백두대간 보호구역’이라는 것을 알리는 안내판은 없었다. 백두대간을 보호하는 법이 있는지, 여기가 보호구역인지 아닌지를 알 수가 없었다. 보호구역 보호의 시작은 사람들에게 여기가 보호구역이라는 것을 알게 하는 것이다.
아픔은 그것의 신속한 해결만이 전부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아픔은 신속한 해결보다는 그 아픔의 공유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 우산을 들어 주는 것보다 함께 비를 맞는 것이 진정한 도움이 아닐까. …ᅠ아픔의 공유와 그 아픔의 치유를 위한 공동의 노력. 그러한 공동의 노력은 그 과정에서 당면의 아픔만을 문제삼는 것이 아니라 그 아픔을 만들어 내는 근본적인 사회적 구조를 대면하게 해 준다고 믿습니다. – 신영복, 『냇물아 흘러흘러 어디로 가니』
백두대간 대탐사를 하다보면 많은 등산객들을 만난다. 등산객들은 범상치 않은 복장을 한 채 조사에 임하는 우리를 보고 무얼 하는지 묻는다. “지금 백두대간 등산로 훼손 상태를 조사하고 있어요”라고 대답하면 한결같이 이렇게 말한다. “이야! 이렇게 좋은 산에 와서 놀 듯이 일하면 참 좋겠네!” 백두대간을 걸으며 숲을 담을 수 있다는 건 좋은 일이다. 하지만 아픔을 마주하고, 아픔을 기록하고, 아픔을 공유하는 일은 늘 마음이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녹색연합은 맨 앞에서 아픔을 기록한다. 그 이유는 아픔이 잊히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아픔을 공유하기 위해서다. 그래야 우리 모두가 아픔에 공감하고, 아픔의 치유를 위한 공동의 노력을 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후략)
글: 한만형(녹색연합 녹색이음팀)
*이 글은 빅이슈 185호(2018.8월호)에 기고된 글입니다. 전문은 빅이슈를 구입하여 읽어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