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 사회적 논의와 합의가 필요하다.
– 최문순 도지사, 분산개최 발언 물러 날 것이 아니라 사회적 논의 대상으로 올려야
– 분단 70년이 되는 올해 남북분산개최는 평화와 환경가치를 추구하는 올림픽 정신에 부합, 적극적 검토 필요
최문순 도지사가 지난 5일 평창동계올림픽의 분산개최와 관련하여 “세계평화 관점에서 남북 분산개최를 아이디어 차원에서 고려해볼 만하다” 밝혔다. 그간 강원도의 재정압박과 환경파괴 논란에도 불구하고 "분산개최 없다" 진을 치던 최문순 도지사의 입장에 변화가 있음이 확인 된 것이다. 그러나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가 곧바로 이에 대해 “부적절한 발언”이라며 비판하자, 최문순 지사는 “아이디어 차원”이었다며 한발 물러난 상황이다. 이는 늦은 감이 있고 한발 물러났을지라도 긍정적으로 평가 할만하다. 사실상 분산개최가 평창동계올림픽을 둘러싼 여러 문제를 타계 할 수 있는 유일하고 합리적인 방안임에 비해, 사회적 논의가 시작조차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남북 분산개최는 강원도에 닥친 현실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도 검토되어야 한다. 잘 알려진 것처럼 2014년 말을 기준으로 강원도 부채는 5천 8백억 원에 달한다. 여기에 올해부터 향후 3년간 매년 1천억 규모로 지방채 발행이 추가 된다. 이런 상태라면 2018년 올림픽을 앞두고 강원도는 1조원에 육박하는 부채를 지게 되는 것이다. 올림픽이 끝나도 문제다. 올림픽 명목으로 추진되는 강종 경기장과 시설 대부분은 사후 활용계획이나 경제성 검토가 없었다. 올림픽이 끝나도 경제성 없는 시설에 지속적인 운영예산이 투여될 것은 뻔하다. 강원도에 신설되는 7개의 경기장 중 사후 활용계획이 수립 된 것은 2개 경기장에 불과하다. 개·폐막식장의 경우 4000명이 상주하는 리 단위에 4만석 규모의 시설을 건설하고 올림픽 이후 1만 5천석 규모로 활용 하겠다 한다. 평창동계올림픽 경기장 등 각종시설 계획과 사후 활용계획은 합리성이나 경제적 타당성과는 거리가 멀다.
2018년 평창올림픽 부터 분산개최가 가능하도록 올림픽 운영방안이 대대적으로 변한 마당에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가 분산개최 무조건 불가를 외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경기장 하나를 건설하는 것도 국비 지원 없이는 불가능한 상황에서, 남의 돈으로 내 잔치 벌이겠다는 도둑놈 심보가 아니라면 조직위원회 스스로 평창동계올림픽이 마주한 상황과 조건을 제대로 보고 분산개최를 위한 사회적 논의에 나서야 할 시기다.
게다가 올해는 분단 70년, 광복 70년이 되는 해이다. 어느 때보다 남북이 평화를 위한 공동의 노력이 요구되는 시기인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남북이 올림픽 분산개최를 결정 한다면, 이 자체로 올림픽 정신에 가장 부합하는 행사로 기억될 것이다. 최문순 도지사가 인터뷰를 통해 밝힌 것처럼 북한 장웅 IOC위원이 분산개최의 가능성을 언급한 바 있어 남북이 진지한 자세로 대화를 시작한다면 남북분산개최가 불가능한 것만도 아니다.
강원도와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가 그토록 말하는 올림픽 유산은 사후활용계획 없는 경기장과 직선화된 도로가 아니다. 남북분산개최를 통해 평화의 물꼬가 트이고 환경훼손을 최소화 하려는 노력이야말로 길이남을 유산이다. 이것이 올림픽 정신의 실현이고 국가 브랜드 가치의 제고이다. 평창동계올림픽 남북 분산개최야 말로 우리 사회와 후대에 남길 수 있는 크고 빛나는 유산일 것이다. 이를 위해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와 강원도는 평창동계올림픽 남북분산개최를 위한 성실한 사회적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2015년 1월 8일
녹 색 연 합
문의: 배보람 (녹색연합 정책팀장, 070-7438-8529)
정규석(녹색연합 자연생태국장, 070-3406-23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