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연합-한국일보 공동기획] ⑥ “신재생 에너지로 난방, 노인 농촌형 임대주택 주거복지의 희망 찾아”

2011.06.01 | 재생에너지

김혜경기자 thanks@hk.co.kr


“사회경제적 약자가 곧 에너지 약자입니다. 복지에 신재생에너지까지 결합했더니 웃음꽃이 피네요.”


건축가 주대관씨.

건축가 주대관(52)씨. 그가 대표로 있는 도시문화연구소는 지역사회의 주거복지 대안을 모색하는 비영리 건축단체다. 10년간 이 문제에 매달려온 그는 지난해 마침내 희망적인 모델을 찾았다. 기초생활수급자인 노인층에 입주비 없이 새 집을 제공하는, 이른바 농촌형 임대주택이다. 강원 인제군에 위치한 이 주택에 사는 노인들은 군청에서 매달 받는 주거대책지원비로 월세를 내고, 기초생활수급비는 온전히 생활비로 쓴다.


그가 농촌형 임대주택을 설계하면서 가장 신경 쓴 부분은 단열이었다. 에너지 사용량을 줄이는 근본적 대안이기 때문이다. 그는 또 태양열로 온수를, 지열로 난방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입했다. 빈곤 계층에게 전기요금은 그나마 감당할만하지만 난방에 드는 기름값은 부담스러울 것이란 판단에서다.


그 결과 33㎡ 규모의 집에서 한달 전기요금은 3만원가량 줄었고, 난방비는 일반 가정의 3분의 1 수준이 됐다. 주거 환경이 개선되자 노인들이 병원에 가는 빈도도 적어졌다. 그랬더니 연락이 뜸했던 자손들이 다시 고향을 찾기 시작했다고 한다. 주씨는 “가난할 수록 열악한 집에 살 거고, 단열이 잘 안되니 비용은 많이 들고 건강은 더 나빠진다”며 “에너지 빈곤이 건강 등 노인복지와 밀접하게 연관이 돼 있다”고 했다.


주씨는 앞으로 농촌 면소재지마다 작은 임대주택이 들어서는 것을 꿈꾼다. 실제로 지난해 농림수산식품부 소속 공무원들이 이곳을 방문, 정책모델로 검토하기 시작했다. 올 7월에는 인제군 남면에 같은 방식의 주택이 또 생긴다.


“농촌형 임대주택이 공공사업이 되면, 재개발 갈등을 극복하는 도시형 모델을 개발할거예요. 이 때도 고단열에 신재생에너지는 빠질 수 없죠.”

녹색연합의 활동에 당신의 후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