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산 대통령 집무실에 처음 들어온 이재명 대통령은 이곳이 무덤 같다고 표현했다. 탄핵 선고 이후, 홈페이지를 비롯해 집무실 모든 곳에서 윤석열 흔적 지우기가 황급히 이루어졌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아직 지워지지 않고 남아 있는 것이 있다. 바로 집무실 앞마당에 위치한 ‘용산 어린이정원’ 문제다.
용산 어린이정원은 윤석열이 용산시대를 시작하며, 대통령 집무실 앞마당을 아이들에게 내주겠다는 약속을 한 뒤 본격적으로 조성한 공간이다. 하지만 해당 부지는 용산 미군기지가 일부 반환된 곳으로, 21년 환경부와 미군의 위해성 조사 결과, 인체에 치명적인 질환을 유발시키는 구리, 납, 수은, 비소, 석유계총탄화수소 등이 국내 토양 오염 우려기준을 월등히 초과한 곳이다. 제대로 된 정화없이 개방되어서는 안되는 공간이다.
시민 사회는 윤석열 정부 3년 동안 오염 정원의 위험성을 강조하며, 폐쇄를 요구했다. 하지만 그 목소리는 가닿지 않았고, 오히려 정부는 업적을 과시하듯 수십만 명이 방문했다며 자화자찬했다. 시민의 건강을 보호해야 한다는 상식을 깡그리 외면한 채였다. 그 기간동안 오염 정원 한복판에는 윤석열, 김건희를 우상화하는 전시물이 들어섰고, 비판하는 시민을 블랙리스트로 지정해 출입 금지 시켰으며, 일감 몰아주기식 LH 수의계약과 대통령실 집들이를 위한 국토부 예산 전용, 그리고 인근 초등학교 학생들이 오염 정원에서 방과후 교육을 받도록 하는 ‘거점형 늘봄학교 1호’ 공간으로 지정되었다.
이제 더이상 시민을 위험에 노출 시킬 수 없다. 이재명 대통령과 더불어민주당도 윤석열 임기 동안 용산 어린이정원 문제를 지적해왔다. 그 심각성을 알고 있는 만큼, ‘국민주권’ 정부임을 표방한 이상, 용산 어린이 정원은 즉각 폐쇄해야 한다. 시민들도 올해 편성된 국토부 운영비 187억, 문체부의 어린이 예술마을 사업 예산 155억에 대한 집행 정지를 요구하고 있다. 윤석열이 열었던 용산시대의 진정한 마감은, 정부가 시민을 오염 정원에 내몰았던 비상식을 다시 상식으로 회복했을 때 비로소 가능해진다.
2025년 7월 11일
녹색연합 · 온전한생태공원조성을 위한 용산시민회의 · 정치하는엄마들
*문의: 녹색연합 그린프로젝트팀 박상욱 활동가 (070-7438-8501 / deepeye121@greenkore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