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연합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 91%
“대통령 선거과정에서 기후위기 대응을 중요한 의제로 삼아야”
2030년 탈석탄·2030 온실가스 감축목표 상향 필요성에도 압도적 다수가 공감
– 응답자의 80.1%, 기후위기의 심각한 영향 이미 나타나고 있다고 답해
– 체감하는 기후위기에 비해 각 주체들의 기후위기 대응 노력은 미흡한 수준으로 보여
– 기후과학의 권고대로 한국의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강화해야한다는 것에 91%가 동의
– 응답자의 대다수, 내년 대선에서 기후위기 대응 공약을 중요하게 고려할 것
– 녹색연합, “정치권의 기후 침묵을 깨야… 책임있는 정치인들의 책임있는 행동이 필요한 때”
녹색연합이 한국갤럽에 의뢰하여 전국의 만 14세 이상 69세 이하 국민 1,500명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부분의 국민들이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체감하고 있으며 다가오는 대선과정에서 기후위기 대응을 중요한 의제로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녹색연합이 작년 8월에 진행했던 여론조사와 비교했을 때, 203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강화, 2030년 탈석탄 등의 기후정책에 대한 지지율이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했다.
이번 설문은 8월 12일부터 19일까지 7일간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53%p다. 통상 여론조사가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것과는 달리, 녹색연합의 이번 조사는 기후위기의 당사자인 청소년의 의견까지 포함하고자여 조사 대상을 만 14세 이상으로 설정했다.
1. 기후위기와 대선
각 정당들의 대선후보 경선과정이 진행 중인 가운데, “대통령 선거를 준비 중인 후보와 정당들의 기후위기 문제를 중요하게 다룬다고 보는지” 묻는 질문에 대해 70%의 응답자가 “중요하게 다루고 있지 않다”고 답해(<그림1> 참조) 시민들이 체감하는 정치권의 기후위기에 대한 인식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시민들(91.1%)은 “대선과정에서 기후위기 대응을 중요한 의제로 다루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며(<그림2> 참조), 88.1%의 응답자가 “내년 대통령 선거에서 후보자에게 투표할 때 기후위기 대응 공약의 내용을 중요하게 고려하겠다”고 답해 다가오는 대선에서 기후위기 대응의 중요성을 시사했다.
<그림1. 현재 대통령 선거 준비 중인 후보 정당들이 전반적으로 기후위기 문제를 중요하게 다룬다고 인식하는 정도>
<그림2.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의제로써 기후위기 대응의 중요도>
2. 기후위기에 대한 인식
이번 여론조사의 응답자의 97.7%는 기후위기가 심각하다고 답했으며 “기후위기의 심각한 영향이 언제부터 발생한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80.1%가 먼 미래가 아닌 “이미 나타나고 있다”고 답하여(<그림3> 참조) 기후위기를 현재 진행형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느끼게 된 계기로는 ‘폭염, 폭우와 같은 국내의 기상이변’을 가장 많은 응답자(64.6%)가 선택했고, ‘산불, 가뭄, 홍수와 같은 해외뉴스’, ‘정부의 탄소중립 선언’이 그 뒤를 이었다. “기후위기가 삶 전반에 얼마나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95.0%의 응답자가 “매우 또는 약간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답변해 대부분의 시민들이 기후위기를 이미 현실적인 삶의 문제로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또한 응답자의 대다수가 기후위기가 일자리문제, 사회불평등 심화, 재난 증가, 식량위기, 생태계 위기 등을 가져올 것이라고 답했다.
<그림3. 기후위기의 심각한 영향 발생시기에 대한 생각>
한편 “기후위기 대응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중앙정부’에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39.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기업’(24.0%), ‘개인’(21.3%), ‘국회/정당’(7.9%), ‘지방정부’(2.9%), ‘언론’(2.1%), ‘교육기관’(1.7%) 순으로 응답했다. 각 주체의 기후위기 대응 노력 정도를 평가하는 질문에 대해서는 거의 모든 주체에 대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노력하고 있지 않다”라고 응답해 기후위기에 대한 인식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 사이에 큰 간극이 존재한다는 것이 드러났다. 앞서 기후위기 대응에 책임이 크다고 답한 중앙정부와 기업, 개인에 대해서는 각각 48.2%, 60.2%, 57.2%의 응답자가 “노력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으며 특히 국회/정당에 대해서는 78.8%의 대다수의 응답자가 “노력하지 않는다”고 답했다.(<그림4> 참조)
<그림4. 각 주체의 기후위기 대응 노력 정도>
3. 기후위기 대응과 탈석탄 정책
한국의 온실가스 감축목표와 관련해서, 응답자의 93.3%가 “현재의 2030년 목표를 강화해야한다”고 답했으며(<그림5> 참조),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 유엔 IPCC에서 제시하는 수준인 ‘2010년 대비 45% 이상’으로 줄여야 한다는 것에는 91.0%가 동의했다. 또한 응답자의 73.5%가 글로벌 주요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우리나라 정부의 기후위기 대응 노력은 ‘미흡’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여러가지 기후위기 대응방안 중에서는 ‘재난대비책 강화 및 취약계층 안전 보장 정책’(91.8%), ‘온실가스 배출 책임이 큰 기업에 강한 규제방안 마련’(87.9%), ‘에너지 수요 및 소비를 줄이기 위한 정책’(87.8%) 순으로 동의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5. 우리나라 온실가스 감축목표 대폭 강화에 대한 동의 정도>
기후위기 대응책 중 하나인 에너지전환과 관련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들(89.4%)이 “우리나라가 2030년까지 석탄발전을 종료하고 재생에너지로 전환해야한다”는 주장에 동의했다. 석탄발전에서 재생에너지로 전환에 동의한 응답자들은 “불가피하게 전기요금이 인상된다면 월 얼마정도의 금액인상까지 수용가능하냐”는 질문에 대해 1만원 미만 (50.0%), 1만원 이상 2만원 미만 (23.9%), 2만원 이상 3만원 미만 (9.2%)이라고 각각 응답했다. 평균 인상금액은 약 14,700원으로 나타났다.
한편 석탄발전 이슈와 관련하여 대다수의 응답자들은 “추가로 지어지고 있는 신규 석탄발전소가 지금이라도 건설 중단되어야 한다”는 데에 동의했으며(79.5%) 국민연금 등 국내 금융기관들의 석탄발전 투자에 대한 생각을 묻는 질문에 절반가량의 응답자가(47.7%) “향후 석탄발전에 대한 더 이상의 투자는 중단되어야 한다”고 응답하고, 응답자의 약 1/3은(30.7%) “향후 투자 중단뿐만 아니라 기존 투자도 철회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그림6. 우리나라의 석탄발전 종료 및 재생에너지 전환에 대한 동의 정도>
<그림7. 신규 석탄발전소의 건설 중단 주장에 대한 동의 정도>
4. 대선후보들, 기후위기 대응공약 전면에 내세워야
이러한 결과에 대해 녹색연합 이다예 활동가는 “이번 여론조사를 통해 시민들이 다가오는 대선에 있어서 기후위기 대응을 중요하게 여기고 있음을 확인했다. 그럼에도 정치권은 기후문제를 중요하게 다루고 있지 않다고 답하였다는 점을 눈여겨봐야 한다”며 “우리나라와 세계 곳곳에서 기후위기가 이미 현실이 된 상황에서 치뤄지는 대선에서는 기후위기 대응이 최우선의 정치 의제로 다뤄져야 마땅하며, 기후위기 대응에 책임이 있는 정치인들의 책임있는 행동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작년 11월 당선된 미국 바이든 대통령의 경우도에도 선거 공약에서 4대 국정 우선과제로 기후변화 대응 정책을 제시했다”며 “탄소예산을 반영한 상향된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세우고 이에 맞추어 사회경제 시스템 전반을 전환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정책을 대선후보들이 제시해야한다”고 밝혔다. 특히 탄소중립 시나리오에서 주요한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는 탈석탄 시점이나 신규석탄발전소 건설 중단에 대해서는 “대선 예비후보들과 정당들이 명확하게 입장을 밝혀야 한다”며 “2030년 탈석탄과 신규석탄발전소 건설중단은 지난 2년간의 여론조사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다수의 국민들이 지지하는 사회적 여론이며 국민들은 에너지 전환을 위해 필요하다면 전기요금 인상도 감수하겠다는 입장이다”라고 말했다.
여론조사 보고서 링크 : https://drive.google.com/file/d/1Yrj9Ie-DLSyXtb2nHWgJV5w81hEIGw4E/view?usp=sha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