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연합, 법정 보호종 산호 ‘해송’ 집단 폐사 확인

2020.05.28 | 환경일반

  • 제주 서귀포 문섬 바닷속은 국내 최대의 천연기념물 ‘해송’ 집단 서식지
  • 난대성 생물 지표종인 담홍말미잘에 의한 ‘해송’집단 폐사 진행 확인
  • 문화재청, 환경부, 해양수산부 등‘보호종·보호구역’지정만 하고 관리 손 놓아
  •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 등 다양한 원인이 있어, 실태 조사 시급

녹색연합은 지난 4월과 5월 제주 서귀포 문섬 일대 바닷속에서 법정 보호종‘해송’과‘긴가지해송’의 집단 폐사를 확인하였다(*첨부한 사진과 영상 참고). 난대성 생물 지표종이라 할 수 있는 담홍말미잘이 해송에 기생하면서 집단 폐사하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특히 국내 최대 해송 서식지인 문섬 새끼섬 동쪽, 수심 20~30m 사이에서 확인한 해송 집단 폐사는 충격적이다. 해송의 뿌리, 줄기와 가지에 부착한 담홍말미잘은 점점 서식영역을 확장하고 있었고, 해송은 담홍말미잘의 기생으로 제대로 영양을 공급받지 못하고 앙상하게 말라 죽고 있었다.‘바다의 소나무’라 불리는 해송은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야생생물, 해양수산부 지정 해양보호생물,‘멸종위기종의 국가 간 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II로서 국가 차원에서 시급히 보호해야 할 국내외 멸종위기종이다(*참고자료 1.‘해송의 법정 보호종 현황 및 근거). 그러나 문화재청, 환경부, 해양수산부 등 관계 행정기관은 보호종, 보호구역 지정 후 관리에 손 놓았다. 해송에 대한 구체적인 연차별 모니터링 자료도 없다. 해송의 집단 폐사도 파악하지 못했다. 산호충류 연구자들은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 염분의 밀도 저하,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한 교란 등 다양한 원인을 지목하고 있다. 바닷속 문화재이며 보물인 산호‘해송’이 급속히 사라지고 있다. 지금이라도 담홍말미잘의 급격한 확산과 해송의 집단 폐사에 대한 원인을 밝히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녹색연합은 문섬 새끼섬 동쪽, 수심 20~30m 일대를 네 차례 직접 수중 잠수해 사진과 영상으로 해송 집단 폐사를 기록하였다. 녹색연합이 확인한 바에 따르면, 담홍말미잘은 문섬 새끼섬 일대 해송 서식지를 급속히 훼손하고 있었다. 담홍말미잘은 해송, 긴가지해송 등 각산호류의 뿌리, 줄기와 가지에 한두 개체씩 부착해 기생하다가 점점 서식 영역을 확장하였다. 해송의 가지 전체에 담홍말미잘이 부착된 것도 있었고, 이미 폐사된 해송도 곳곳에서 발견되었다. 해송 주변의 암반에 부착해 서식하는 담홍말미잘도 확인하였다. 국내 최대의 해송 서식지라 할 수 있는 문섬 새끼섬의 해송 대부분이 담홍말미잘에 의해 말라 죽고 있었다(*참고자료 2. 담홍말미잘에 의한 해송 집단 폐사 사진). 해송류의 가지에 무리지어 사는 담홍말미잘의 존재는 이미 학계에서 10년 전부터 확인하고 있었지만, 이번 경우처럼 해송 서식지가 전체적으로 훼손되는 경우는 처음이다. 담홍말미잘에 의한 해송 폐사는 문섬 한개창, 범섬, 송악산 형제섬 일대에도 보고되고 있다.

제주 연안에는 국내 산호충류 160종 중 125종이 다양하게 서식하며, 특히 서귀포 문섬과 범섬 일대는 세계 연산호 서식지 중 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곳이다. 이번에 해송 집단 폐사가 확인된 문섬 일대는 그 자체로 국내외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어 철저한 관리가 요청되는 지역이다. 문화재청은 제주 남부해역의 서귀포 일대와 송악산 일대를 천연기념물 제442호‘제주연안연산호군락’으로 지정하였고, 문섬과 범섬은 그 자체로 천연기념물 제421호 ‘문섬 범섬 천연보호구역’이다. 또한 한라산과 문섬을 포함한 제주 남부 해역은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고, 해양수산부 지정 생태계보전지역, 제주도 지정 해양도립공원과 절대보전지역 등 국내 보호구역 중 보전 가치가 으뜸인 지역이다. 또한 문화재청이 [제주연안 연산호 군락 산호 분포조사 통합보고서](2009.11)에서 제주 남부 연안의 연산호 군락 중 최고 보전등급인 V등급, 즉 연산호 군락지 핵심지역으로 제안한 곳은 서귀포 문섬과 범섬 일대였다(*참고자료 3. 문섬 일대 국내외 보호구역 지정 현황).

법적 영역만 따지면, 해송은 철저하게 보호, 관리되어야 마땅한 것이다. 그러나 문화재청, 환경부, 해양수산부는 해송 등 법정 보호종 산호충류에 대한 개체별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않았고, 관련 예산과 인력은 전무하다. 법정 보호종 산호충류 관리를 위한 독립 기관도 보유하고 있지 않다. 심지어 문화재청, 환경부, 해양수산부는 멸종위기 산호충류를 법정 보호종으로 중복 지정하면서도 현장 관리는 떠넘기기에 바빴다. 이번‘해송’집단 폐사의 사례처럼, 관계 행정기관은 현장 상황을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담홍말미잘이 급격히 확산된 이유는 정확한 모니터링 정보가 없기에 단언할 수 없다. 그러나 국가생물다양성 정보공유체계에 소개된 담홍말미잘은‘한반도 난류성 생물의 특성을 잘 반영하는 생물지리적으로 중요한 종’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수온 상승과 해양생태계 변화에 민감한 난류성 지표종임을 알 수 있다. 즉 기후변화가 담홍말미잘 확산과 해송 집단 폐사에 연관이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참고자료 4. 제주의 기후변화 징후)

문화재청, 환경부, 해양수산부는‘해송’집단 폐사의 원인을 즉각 밝혀야 한다. 현장 상황을 가장 잘 파악하는 현지 스쿠버다이버와 녹색연합 등 환경단체와 함께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하여 해송, 긴가지해송 뿐만 아니라 법적 보호를 받고 있는 모든 산호충류를 대상으로 전수 조사를 실시해야 한다. 또한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생태계, 특히 법정 보호종으로 지정된 산호충류의 변화상을 추적하여, 변화에 따른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장기적으로 제주 바다 산호충류의 현장 모니터링, 연구와 조사, 교육과 홍보 등을 총괄할‘산호보호센터’를 추진해야 한다.

오는 31일은‘바다의 날’이다. 지난 22일은 UN이 정한‘세계생물다양성의 날’이었고, 6월 5일은‘환경의 날’이다.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을 위한 각종 기념일이 줄지어있고, 관련 정부 기관은 기념식 준비에 여념이 없다. 그러나 정작 바닷속 문화재이며 보호종 산호는 위기 상태이다. 국가 문화재와 생태계 보호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할 문화재청, 환경부, 해양수산부는 바닷속 법정 보호종 관리에 손을 놓았고, 멸종위기 산호충류는 세 행정기관의 사각지대에서 집단 폐사를 맞이한 것이다. 더 늦기 전에 조치를 취해야 한다.

우리의 요구

  • 문화재청, 환경부, 해양수산부는 ‘해송’ 집단 폐사의 원인을 즉각 밝혀야 한다.
  • ‘해송’집단 폐사와 법정 보호종 산호충류 현황 조사를 위한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해야 한다.
  • 기후변화로 인한 해양생태계, 특히 법정 보호종으로 지정된 산호충류의 변화상을 추적하고 보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 제주 산호충류의 현장모니터링, 연구와 조사, 교육과 홍보 등을 총괄할 ‘산호보호센터’를 추진해야 한다.

[첨부 자료]

2020528

녹 색 연 합

문의: 신수연 녹색연합 정책팀장(010-2542-2591, gogo@greenkorea.org)

윤상훈 녹색연합 사무처장(010-8536-5691, dodari@greenkorea.org)

[사진] 담홍말미잘에 의한 해송 집단 폐사 사진

녹색연합의 활동에 당신의 후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