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생태학자가 바라본 코로나 시대 환경운동 – 오충현 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

2020.12.22 | 행사/교육/공지

[인터뷰]


생태학자가 바라본 코로나 시대 환경운동 – 오충현 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

“저는 환경운동이 언택트가 아니라 택트에 집중을 해야 된다는 생각이 들어요. 다만 그게 과거처럼 대규모로 모이는 것이 아니라 지역에 핵심적으로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찾아서 소규모로 사람들을 모아서 하는 활동들을 활발하게 진행하는 것이 오히려 미래의 환경운동의 대안이 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충현 동국대 바이오환경과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비오톱 지도를 처음 제작하고 정착시켰으며, 동국대 생태계서비스 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코로나 시대, 생태학자가 바라본 한국 환경운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들어보았다.

생태학자가 바라본 코로나 시대

코로나 시대나 코로나 이후 시대를 예측하는 게 그렇게 쉽지는 않다. 코로나에 대해서는 낙관적이다. 이것은 바이러스 문제고, 인류는 오랫동안 바이러스와의 전쟁을 벌여왔기 때문에 시간의 문제지 결국에는 안정될 거라는 생각이 든다. 다만 코로나 이전에 살았던 방식으로 돌아가는 일이 생각보다는 꽤 오래 걸릴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요즘 비대면 수업을 하는데 학생들이 얼굴 안 보여주려고 하고, 카메라 안 켜려고 한다. 학생들이 불편해하니 어쩔 수 없지만 얼굴을 마주쳐야 저 친구의 건강 상태나 이런 것들을 알 수가 있다. 목소리만 듣는데, 또 20~30명을 동시에 틀어 놓을 수가 없다. 한 명 한 명 이렇게 대화식으로 풀어갈 수밖에 없는데, 그러다 보면 점점 숨으려고 하는 것들이 커진다. 그게 잠깐인 거 같지만 몸에 익어버리면 다시 밖으로 나와서 활동을 할 때 불편을 느끼게 된다. 불편을 느끼게 되면 만나는 사람이 소수가 되고, 소수가 되다 보면 아무래도 불안정할 수 밖에 없다.

산업화 이후 오염으로 발생한 건강문제를 넘어 인수공통감염병처럼 자연환경 훼손과 생태계 불균형으로 인한 문제들이 생겨나고 있다. 더 나아가 정신건강에도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 산업화에 따른 후기 건강문제로 볼 수 있다. 코로나19나 메르스 같은 경우는 약이나 과학으로 극복이 되는데 정신건강은 극복이 더 어려운 것 같다. 대게 정신건강의 문제는 컨택이 아닌 문제에서 생겨나는데, 코로나로 인해 혼자 있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더 확대되지 않을지 우려가 된다.

코로나로 인해 사람들이 사회나 자연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리라 생각하지만 아마도 바뀌지 않을 것 같다. 코로나가 인간이 자연을 훼손해서 생겨난 질병이라고 지금 대부분 생각을 한다. 그러면 자연환경 개발 등이 주춤할 수 있지만 관성이 있기 때문에 이런 문제들이 계속 반복될 것 같다. 자본화가 극상에 달하면서 생기는 문제들은 어떻게 보면 제도에 의해 다듬어질 수도 있는데 자연이 훼손되는 건 막을 수 없다. 우리가 고민하는 해양오염, 미세먼지도 다 대항해 시대에서 산업혁명을 거쳐 오면서 브레이크를 밟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다.

코로나로 인해서 사람들이 자연의 소중함을 알았다고 하는 것도 아니라고 생각한다. 지금 일어나고 있는 아주 단편적인 상황인 거고, 이게 조금씩 길어지다 보면 또 다른 패턴으로 발달할 수 있는 여지가 있을 거 같다. 예를 들어 ‘차박’은 도시에 있는 공간을 그대로 자연으로 옮겨 놓은 것이다.  현대화된 도시인들의 문화다. 우리가 흔히 자연을 느낀다고 하는 감수성과 다르다. 자연을 온전히 느낀다면 땅과 흙과 접하는 건데 차박은 도시에 있는 걸 그대로 자연에 옮겨서 조금 낭만적으로 있다가 그대로 가져오는 거다. 차박의 문화가 사람들을 피하고, 불편해하고, 떨어져 있고 싶어 하는 부분의 연장이라고 보는 거지, 정말 자연이 좋아서 하는 문화는 아니라는 생각이 든다. 코로나 이후에 도시 주변 접근성이 좋은 곳은 사람들이 많은데, 사람들이 안 찾는 국립공원 같은 경우는 오히려 찾아오는 사람이 뚝 떨어졌다.

환경운동의 과거와 현재

초창기 환경운동은 선각자나 선지자, 선구자적 성격이 강했다. 다른 사람이 인식하지 못한 것을 이렇게 하라며 화두를 던지고 끌고 가는 입장이었다. 흔히 말하는 성직자들이 하는 일들이다. 그 노력의 여파로 상당히 많은 인식 전환이 이뤄졌다. 아직 부족한 부분이 많지만 그래도 사람들이 생태라는 단어도 이야기하고, 생태공원도 만들고, 우리 주변에 녹지도 많이 만들어지고, 국립공원도 지키고 보호하려고 한다. 갯벌, 습지를 함부로 하면 안 된다는 그런 인식들이 보편화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문제는 보편화될수록 환경운동은 위기를 맞게 된다. 예를 들면, 우리가 뭔가 잘 모르고 있을 때는 따라갈 수 있는데, 실천을 못 할지라도 우리가 다 알고 있다면 특별한 감흥이 없는 거다.

초창기 생태운동을 하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이 잘 모르는 부분들에 대해 제시하다 보니 회원 모으기도 편하고, 운동하기도 편했다. 그 결과로 지금은 제도로도, 법으로도 들어가 있고, 기구도 만들어져 있다 보니 보편화 된 것이다. 그럼 그다음의 운동은 무엇을 해야 할까. 여러분의 경우는 환경운동의 3세대, 4세대 활동가다. 이전 세대들은 힘은 들었어도 내가 하는 이야기에 대해서 누구나 다 호응을 해주고, 운동하면 수백 명이 모이고, 피케팅을 해도 되고, 뭘 해도 호응이 높았기 때문에 기운도 엄청났을 것이다. 그런데 지금은 광화문 광장에 가서 상괭이 죽었다고 피켓팅 한 번 해도 호응하는 분들이 거의 없다.

환경운동을 하는 활동가는 계속 깨어 있어야 한다. 시류를 읽어야 하고, 상황을 알아야 하고, 그러면서도 예전처럼 프로파간다식의 운동이 아니라 이제는 어떤 주제를 가지고 하나씩 실천을 해 나가야 하는 시대가 된 것 같다. 이슈파이팅이나 정부를 지적하는 일이 선배들에 비하면 엄청나게 줄었다. 그리고 훨씬 더 전문적으로 들어가기 시작했다. 그러다 보니 활동가들도 계속 공부를 하는 수밖에 없다. 독일 분트(BUND)의 경우 박사 인력이 많다. 정부와의 경쟁이 점점 깊어졌기 때문이다.

예전처럼 단순히 이슈파이팅이나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운동에서 이제는 조금 구체화된 환경운동으로 들어갈 때가 된 것 같다. 특히 코로나로 인해 대중운동을 하기에도 쉽지 않다. 서구를 보게 되면 초기의 성직자가 수도사가 된다. 수도원 중심으로 소수가 운동을 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환경운동의 경우도 이제는 협동조합 운동이나 환경 친화적인 기업 또는 공동체를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예전처럼 사람을 모아서 활동을 하는게 아니라 활동가들이 실제로 활동을 하면서 드문드문 시민들이 와서 같이 활동을 하는 그런 패턴으로 바뀌어야 한다는 생각이 든다.

사실 시민단체는 Non-Governmental도 있지만 Non-Profit의 성격이 강하다. 환경단체가 NGO와 NPO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활동을 하기 위해서 연수원을 만들거나, 생태공원을 직영하거나, 위탁 운영하거나, 협동조합 운동과 같은 것들이 앞으로 필요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모태로써의 운동단체는 그대로 두고 계속해서 역할을 하도록 하되, 자회사를 계속 만드는 것이다. 환경교육센터도 만들고, 환경교육연구소도 만들고, 환경교육연수원도 만들고.

지금 대중이 원하는 방향이 뭘까. 예를 들면 SNS, 유튜브 이런 것들에 대해서 하나의 운동방향이라고 생각하지만 따뜻하지가 않다. 비대면이라고 하는 부분이 가지는 맹점이다. 온라인 포럼은 단순히 우리끼리 모여 세미나 한번 하는 것보다는 효과가 크고, 아카이빙하고, 퍼트리고,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그 이상 더 나아가기 쉽지 않다. 그렇다고 우리 모두 PD가 되어서 방송을 만들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그러면 실제로 일반 시민들과 눈높이를 맞춰서 할 수 있는 활동이라는 게 무엇일까. 저는 그게 사업이라고 생각한다.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NPO로서 그 이익을 시민들에게 다시 돌려준다고 생각하고 활동을 하게 되면 여러 가지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을 한다. 그리고 정부가 가지고 있는 그런 부분들을 자꾸 가지고 와야 한다. 예를 들면 과학관이나 환경교육 시설들을 정부에서 운영할 필요가 없다. 시민단체가 운영하는 것이 훨씬 더 효율적이다. 예전 선배들이 보면 싫어하실지 모르겠다. 하지만 지금의 시대는 확실히 바뀌었다는 생각이 든다. 그것에 적응을 못 하면 우리나라의 환경단체들이 코로나와 같은 문제들이 왔을 때 엄청 취약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틀을 바꿔야 한다. 환경운동가는 내가 세상을 바꿔보겠다, 자연환경을 지키겠다는 욕심으로, 나름대로 그 이상을 가지고 활동을 하지 않나. 과거에는 그 이상을 실현할 기회가 대중을 향한 여러가지 활동으로 있었다고 하면 20~30년이 지난 지금은 시대가 완전히 바뀌었다. 후원의 밤하면 그런 거 막 느끼지 않나. 예전엔 행사장이 꽉꽉 찰 정도로 모였는데 지금은 아는 사람 몇몇만 모인다. 예전 같지 않다는 게 동력이 상실됐다기보다 세상이 바뀌었다는 거고. 코로나 이후에 저는 그게 훨씬 더 커질 것 같다.

새로운 것들을 발굴해야 한다. 정말 조심해야 되는 게 시대가 바뀌었는데 너무 고집스럽게 옛것을 주장하는 것이다. 흔히 꼰대라고 하지 않나. 예를 들면 선배들이 예전에는 이러이러한 기회 요소들 덕분에 성장할 수 있었지만 요즘 상황은 그런 기회가 예전만 못하기 때문에 새로운 활동가들이 어떤 활동을 새롭게 해야 할지, 이런 것들을 정말 냉철하게 고민을 해줘야 한다. 그렇다고 하는 것은 시민이 원하는 바를 정확하게 알아야 한다. 관성이라는 게 쉽게 안 바뀌지만 바뀌어야 한다.

환경단체의 새로운 역할

환경단체가 지역 단위로 내려가야 된다고 생각한다. 땀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활동은 쉽게 베끼지 못한다. 녹색연합이 울진에서 한 활동이 좋은 예다. 아무나 흉내 낼 수 없다. 누군가는 그런 역할들을 계속해줘야 된다는 생각을 한다. 예를 들면 비슷한 지역축제들이 많은데, 조금 더 신경을 쓰면 축제로 사람들이 몰리는 것을 기회로 청년들이 지역에 내려오게 하고, 농업공동체로 친환경 농업을 해서 미래를 대비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일은 지역의 군수나 몇 명이 할 수 있는 게 아니다. 결국 서울에 있는 단체와 결합이 되어야 한다. 도시에 있는 단체와 결합이 되어야 생산이 되고, 계속 유통이 되는 네트워킹이 생기는데 우린 그게 잘 안 된다.

서울에서 열심히 활동하는 활동가도 중요하지만 울진에 내려가서 농민들하고 같이하면서 뭔가 만들어내는 것이 어쩌면 지금 시대에 우리가 해야 하는 새로운 환경운동 유형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더 어려울 수도 있다. 언젠가는 여기를 떠날 거라는 활동방식이 아니고, 지금은 내가 지역 사회의 리더, 간사가 되어서 끌고 간다는 생각으로. 그런 게 단체 안에서 순환 구조로 가는 것도 괜찮을 수 있다. 너무 중앙에만 있게 되면 현지에서 활동하는 것에 대한 감이 없기 때문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거점들을 마련하는 작업이 중요할 것 같다. 현장성을 잃어버리거나, 내가 기댈 수 있는 지역이 없으면 운동을 지속하기 어렵겠다는 생각이 든다.

환경운동을 하게 되면 원생자연을 지키는 것에 집중한다. 사실 자연은 설악산이나 지리산에만 있는 게 아니다. 오히려 그에 접해 있는 농촌에 있을 수 있다. 농촌을 지키고, 살리면 그 자연은 보전될 수 있다. 그런데 우리는 이 주변이 계속 개발이 되어 나가는데도 원래의 몸뚱어리만 지키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세계적으로도 그런 사조가 바뀌어 간다. 농업이 가진 생물다양성, 농업이 가진 생태계 서비스를 지역에서 지켜내면서 아울러 산림도 같이 지켜 내는 것이다. 우리가 그 주변을 지키는 것에는 그간 소홀했다. 바다도 똑같다. 농민, 어민의 일이 우리와 상관없는 일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천천히 우리나라 어업, 농업, 임업 분야에서는 환경 쪽에서 무엇을 해야 지속가능하게 갈 수 있는지 나서야 한다.

다들 개발을 원한다. 그래서 울진 같은 활동들이 필요하다고 하는 것이다. 지리산권, 태백산권도 그렇고 그쪽에 가서 활동가들의 목소리가 커져야 개발도 막을 수 있다. 지금은 그냥 뚝 떨어져서 케이블카면 케이블카 반대하고, 그러니까 지역에 가면 농민들과 계속 부딪히는 문제가 생긴다. 이 사람들이 정말로 우리 지역을 살리고자 하는 거고, 농민들 편에 서 있는 거라는 게 있어야지 운동이 되는 것 아닌가. 노작 활동이 필요하다. 실제로 내려가서 그 지역의 농민들처럼 나도 경제적인 농사를 지으면서 활동을 해줘야지 동시에 지킬 수 있다. 그리고 거기서 나오는 쌀이나 체험활동 같은 것들을 결국은 교육이나 단체 활동비로 전환시킬 수 있는 아이디어가 계속 모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역민들이 자연환경에 도움이 되는 농사를 짓도록 유도하고, 그 과정이 주민들에게도 도움이 되면서 지속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할 것이다.

연수원이나 교육시설도 서울이 아닌 지역에 있어야 한다. 그래야 농민들에게 도움이 되기도 하고, 실제로 살아가는 모습들을 보여줄 수 있다. 100명, 200명 모을 수 있는 곳이 아니라, 소규모로 제대로 교육을 할 수 있는 곳들이 필요할 거라고 생각한다. 그러면 운동을 도시와 다시 연결을 시킬 수 있다. 도시에 있는 청년이나 청소년들이 차박하러 오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지역에 와서 교육도 받고, 농사를 짓고, 농촌이나 자연을 체험하고 올라갈 수 있도록 하는 것. 결국 젊은 사람들이 없으면 농촌이 무너져버린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사람을 다 농부를 만들 수는 없다. 근데 특히 제가 말씀드린 부분은 기계화하기도 힘든 문화다. 

인구가 계속 감소하고 있다. 그래서 군기지를 자연화 하는 것처럼 농촌이나 지방 도시에 있는 시설물에 대한 재자연화 운동같은 게 필요할 거라는 생각이 든다. 예전에 녹색연합에서 산속에 있는 군사시설들 뜯어내자 그랬을 때 다들 의아했을 거다. 하지만 복원하니까 확실히 다르지 않나. 그런 것처럼 꼭 보호지역이 아니더라도 이제는 숲으로 되돌리는 게 훨씬 더 나은 지역이 있을 수 있다. 지금은 기능을 상실하거나, 방치한 개간한 농지나 대규모 목장터를 어떻게 다시 자연으로 돌릴 것인가, 활용하지 않게 된 대규모 시설이나 운동장을 어떻게 재자연화 할 것인가. 인구감소와 관련된 지역소멸 문제를 사회학자들 입장에서는 지역을 재생하는 부분들을 고민할 때, 환경단체에서는 지역의 필요 없는 시설을 어떻게 다시 숲으로 돌리거나 재자연화 할지, 이런 것들도 큰 비전으로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녹색연합의 활동에 당신의 후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