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14일, 서울 명동 커뮤니티하우스 마실에서 녹색연합 창립 34주년...
[탄원서 연명 요청] 그들의 행동은 범죄가 아니라 정당한 외침이었습니다.
💪탄원서 연서명하기(~7/5): https://bit.ly/4nqJ6d1 23년 9월...
[보도자료]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조건부 동의’, 결국 면죄부였나…국민행동, 원주환경청장 면담 결과 공개
국가유산청은 ‘공사 중단’ 명령하는데…원주환경청은 “지켜보겠다” 뒷짐 ‘조건부 협의’는...
산불 이후 며칠, 몇 주, 몇 년의 현장을 살펴보다.
경북 산불이 발생하고 일주일이 되던 날, 녹색법률센터는 녹색연합 서재철 전문위원과 피해...
[모집] 6월 핵心 영화제 – <동경 핵 발전소> 같이 봐요!
🎬핵심만 쏙! 핵心 영화제🍿 🎥넷플릭스 대신, 다른 영화 보고 싶은 사람!🤔'핵발전'...
[보도자료] “세계는 지금, 공공재생에너지” 국제심포지엄 개최
공공재생에너지연대 공공운수노조⋅기후정의동맹⋅노동당⋅녹색당⋅녹색연합⋅민주노총...
공공재생에너지 국제 심포지엄 개최! “세계는 지금, 공공재생에너지”
6월 18일, 공공재생에너지연대는 더불어민주당 박지혜, 정진욱, 허성무 의원,...
[보고서] 페이퍼파크를 넘어 생명의 공간으로
https://issuu.com/i_greenkorea/docs/_20_?fr=xKAE9_...
[논평] 정치 비호와 ‘조건 돌려막기’로 버틴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10년의 기만극 끝낼 때
결국 우려가 현실이 됐다. ‘조건만 지키면 괜찮다’던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이 그...
[보도자료] 고리 1호기 영구 정지 8년, 노후 원전 수명연장 중단 요구 기자회견 개최
“노후 핵발전소 수명연장 중단!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의 첫걸음” 고리 1호기 폐쇄...
[카드뉴스] 이재명 정부가 용산 어린이정원에서 해야할 일
윤석열은 탄핵됐지만, 용산 대통령 집무실 앞 오염된 용산 어린이정원은 그대로 남아 시민...
320호 비슐랭 | 마치 비건 수호천사, 카페 달냥 – 맛집 탐방기, 그런데 이제 비건이 필수인
마치 비건 수호천사, 혜화역 비건카페 달냥 서울 종로구 혜화로 45, 2층11-21시...
320호 우녹사 | 신입이 알려준다, 녹색연합 이모저모 – 소하연 활동가 인터뷰
[우녹사 - 우리가 모르는 녹색연합 사람들] 녹색연합은 청년입니다. 창립 34주년을...
[기자회견문] 설악산의 돌이킬 수 없는 파괴를 막기 위한 법원의 현명한 결단을 촉구한다!
오늘 우리는 대한민국 자연유산의 심장인 설악산을 파괴하려는 시도에 맞서, 비통한...
[보도자료]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
설악산국립공원의 회복 불가능한 환경 손해 막기 위한 긴급 조치 필요 ‘공원사업시행허가’...
[보도자료] 새 정부의 정의로운 2035 NDC 설정과 탄소중립위원회 재구성이 시급하다
“탄소중립기본법 개정 및 2035 NDC 상향 요구 기자회견” 새 정부의 2035년...
[보도자료] 오삼이(KM-53)를 기억하며, 야생동물과 인간의 공존을 묻다
녹색연합 제작 다큐멘터리 <야생동물통제구역>, 멸종위기종 복원사업 20년의 궤적과...
[후기] 올해도 어김없이 생명의 점을 찍은 새:친구 10기🐤
올해도 새친구가 모였습니다. 새친구는 유리벽 충돌로 인한 새들의 죽음을 막는 시민 참여...
[보도자료] “기후위기시대, 선택은 탈핵” 탈핵시민행동, 새 정부에 핵 발전 중심 에너지 정책 폐기 촉구
“기후위기 시대, 선택은 탈핵” 전국 38개 시민사회단체 ‘탈핵시민행동’, ...
[성명서]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공사 중단은 ‘총체적 무능’의 증거, 완전한 백지화를 촉구한다.
어제, 국가유산청이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희귀식물 이식 공사에 대해 '공사...
[워크숍] 녹색의 즐거움 : 비건 짜이 만들기☕🌿
손으로 즐기는 녹색의 즐거움🌿 다함께 모여 비건 짜이를 만들어요! 짜이(Chai)는...
[보고서] 발전공기업제약요인 시리즈1: 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발전 공기업의 재생에너지 확대, 어떤 지점에서 제약요인이 있을까요? 녹색연합에서 2편의...
[기고] 페트병 재활용 신발은 친환경적일까?
“페트병을 재활용해 만들었다는 신발을 샀다. 디자인이 맘에 들어 선택했지만, 재활용을...
[기고] 살아갈 권리, 날아갈 자유
새의 비행, 당연하지 않은 낯선 곳으로 여행을 다녀온 후에는 왠지 세상을 바라보는 렌즈...
[기고] 식목일이 3월이 될 수도
서울의 벚나무가 3월에 만개하더니 식목일도 되기 전 꽃잎을 떨구었다. 기상청은 3월에...
[기고] 지금이라도 멈추지 않으면
'안녕하세요?' 무심코 건네던 가벼운 인사말 한마디조차 내뱉기 쉽지 않은 요즘입니다....
[기고]우리는 왜 환경운동의 협력자가 되어야 하는가
“우리가 후원하면 1년 안에 산양이 2백 마리가 되나요?”환경 단체 모금 활동가로...
[이벤트] 굿즈로 세상을 구할 수 없어도, 곰은 구할 수 있어요!
철창 속 곰들의 자유를 기원하며 굿즈를 만들었습니다. 굿즈로 당장 세상을 구할 수는...
[자연의권리 퍼포먼스 ‘공생’ 참가후기3]야생동물의 눈으로 세상을 보자
20년쯤 전에 녹색연합 야생동물 보호활동 담당자로 자원 활동가들과 함께 깊은 산에 밀렵...
[자연의권리 퍼포먼스 ‘공생’ 참가후기2]우리의 몸을 통과하고 새겨지며 함께 쌓아가는 모두의 한 걸음
작년 을지로 페럼홀에서 열린 그린컨퍼런스 <자연의 권리> 그리고 자연의 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