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색순례 <동백꽃 다시 핀다> 두번째 이야기: 면면은 다채롭고 아름다워야 한다!

2018.04.09 | 녹색순례-2018

녹색연합은 1998년부터 봄이 되면, 배낭을 메고 온 몸을 자연에 의지한 채, 열흘간 도보순례를 떠납니다. 주민들의 생생한 증언을 듣고 이 땅의 아픈 곳, 그 신음 소리를 들으며 대안과 공존의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제주 4.3 70주년인 올해는 ‘동백꽃 다시 핀다’라는 주제로 제주 전역의 4.3 유적지와 분쟁 지역을 걷습니다. 4.3 평화공원을 시작으로 북촌, 우도, 성산, 남원 그리고 강정과 송악산을 지나 한라산을 넘는 코스입니다. 순례는 4월 3일부터 4월 12일까지 9박 10일간 진행되고, 다섯 번의 기사를 연재합니다.

일 년 중 열흘만 허락한 거문오름, 용암이 흘러간 길
물기를 머금은 공기가 땅에 내린다. 비 내린 제주의 포근한 대지가 우리 발걸음을 감싼다. 순례 삼일 째. 거문오름에 드는 길은 우(雨) 중 이다.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은 하나부터 열까지 보전이 우선이다. 짐짓 너른 한반도에서 제주가 살가운 이유다. 탐방 총량제, 예약 탐방제가 보통인 이곳에서 우의를 입은 행렬은 한발 한발 조심스럽다. 거문오름 초입, 선흘리 이장을 지냈다는 호기로운 중년의 해설사는 개발보다 보전을 택했다는 자부심이 자못 대단하다.


삼나무 사이 좁은 탐방로를 오르다 이내 용암길로 길머리를 잡는다. 용암길은 일반에 쉬이 개방하지 않는단다. 일 년 중 딱 열흘 만 길을 내준다니 그 신비함과 소중함은 차고 넘친다. 이곳을 허락해줬으니 구구절절 감사할 따름이다.
곶자왈, ‘곶’(숲)과 ‘자왈’(덤불)이 만난 ‘곶자왈’은 화산활동으로 만들어진 돌무더기에서 생겨난 숲이다. 억겁의 시간이 더해진 것이다. 제주 거문오름은 대표적인 곶자왈이다. 그 중 용암길 숲길은 용암이 평평히 흘러간 길이 토대다. 내 머리를 훌쩍 지나친 나무들 사이로 허리춤의 관목들과 발길에 아슬아슬 차이는 화초류까지 생명의 조화로움과 어우러짐이 바로 눈앞 광경이다. 사실 사람의 발길, 손길이 가닿지 않는다면 서울 남산이라고 다를 이유가 없다. 굽이굽이 숲을 통과하다보면 용암길은 흡사 가리왕산이다. 겨울에는 따뜻한 바람이 여름에는 차가운 바람이 돌 사이 지면을 감싸는 것이 같다. 생명들에게 안식처를 제공하는 천혜의 시드뱅크(seed bank)다.

한참 만에 바람을 맞는다. 그렇게 ‘벵뒤굴’에 다다른다. 천연기념물 제490호 ‘벵뒤굴’은 연장길이 4481m인 용암굴이다. 용암동굴 가운데 세계에서 21번째로 길다. 지상으로 뚫린 입구만도 알려진 것만 23곳이다. ‘벵뒤’는 ‘허허벌판’의 제주 사투리로 허허벌판에서 발견한 굴이 이름의 연유다. 제주에는 크고 작은 굴들이 즐비하다. 화산섬이라는 한 가지 이유 때문이다. 그리고 그 굴들은 다른 한 가지 이유 때문에 서글프다. 많은 굴들이 제주4·3 동안 피난처이자 무덤이었다.


오늘은 선흘리 경로당까지 24km 남짓 내걸었다. 빗방울을 털어내고 경로당에 짐을 푼다. 선뜻 자리를 내어주신 마을 어르신들과 저녁나절을 함께 한다. 급하게 배운 제주 노래 ‘고찌 글라’(같이 가요)를 들려 드리고, 80~90세 어르신들의 이야기를 조심스레 청한다. 물이 귀했던 선흘리에서 오래전 물통(습지) 물로 집안을 경영했던 할머니들의 고된 삶도 볍씨학교 학생들의 특별공연으로 만났다. 그리고 잠깐이지만 제주4·3 이야기도 들었다. 삶의 면면은 이리도 다채롭고 다양했는데, 죽음의 단면은 어찌나 한결 같은지. 이번 녹색순례 동안 우리가 만나게 될 제주4·3의 단상이다.

순례 4일 차, 동백동산에서 북촌까지
제주는 여전히 쓸쓸한 빗속이다. 람사르 협약 보존습지 동백동산, 오늘 둘러갈 첫 번째 목적지다. 선흘리 곶자왈 동백동산에는 이름처럼 동백나무가 천연림으로 넓게 분포한다. 황칠나무, 개가시나무, 머귀나무 등 흔치 않은 식생을 자랑하고 무엇보다 먼물깍을 비롯해 크고 작은 물통(습지)들이 도처에 있다. 언제고 잘 보존된 숲길은 향기롭고 산들댄다. 동백동산 숲길도 매한가지다. 거기다가 마을사람들이 지켜내고 가꿔온 자연이니 여느 수목원의 숲길과 비할 바가 아니다.

그리고 우리는 동백동산 안 ‘도틀굴’에 이른다. 1948년 11월 21일, 선흘국민학교에 주둔한 군인들은 선흘리 마을을 불태우고 소개령을 발령한다. 해안선에서 5km 밖 모든 주민들을 적으로 간주하겠다는 이른바 ‘초토화 작전’이다. 삶의 터전이 불에 타자 주민들은 비상식량을 짊어지고 선흘곶의 동굴들에 피신한다. 도틀굴은 선흘리 젊은이들이 사흘 간 피신해 있다가 희생된 곳이다. 1948년 11월 25일을 기점으로 단 며칠 사이 선흘리 주민 200여 명이 목숨을 잃었다. 굴 입구의 습한 공기, 공포는 시대를 초월한 냥 공기는 시간을 관통한 냥 도통 다가가지지가 않았다. 지금으로부터 꼭 70년 전 역사다.


가볍게 내려앉은 습한 기운이 조금씩 사그라질 때 함덕에 이르렀다. 바람은 거세지만 대기는 가볍다. 수상 스포츠를 즐기는 이, 웨딩 촬영에 여념이 없는 이, 유채꽃을 벗 삼아 사진을 찍는 이 등 함덕해변은 그야말로 관광지다. 현대사의 참혹한 현장을 지척에 두고 평화와 활력의 또 다른 세상이다.
서우봉을 넘어 바로 북촌리에 들었다. 현기영의 소설 ‘순이 삼촌’이 가리키는 곳. 1949년 1월 17일, 세화에 주둔하던 2연대 3대대 병력 일부는 북촌리 가옥 400여 채에 불을 지르고, 1000여 명의 마을 주민들을 북촌국민학교에 몰아넣는다. 그리곤 인근의 당팟, 너븐숭이 등지로 주민들을 끌고 가 사살했다.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마을주민 300여 명이 희생됐다. 제주4·3의 가장 비통하고 참혹한 기록 중 하나다. 삶의 면면은 다채롭고 아름다워야 한다. 죽음의 면면도 그 삶을 닮아야 한다. 하지만 1948년 4월 3일에 시작된 제주의 죽음은 면면이 통한으로 한결 같다.
이름 짓지 못한 역사를 만난 날. 숨죽여 가져내려온 비극을 마주한 날. 네 번째 밤, 잠을 청할 때까지도 도통 마음이 모아지지 않았다.

인터넷 언론 www.ohmynews.com 에도 게재됩니다.
기사작성: 녹색연합 정규석

 

녹색연합의 활동에 당신의 후원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