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 식물? 비슷한 보금자리 찾아주면 되잖아요!]“케이블카 공사를 하려고 보니 그...
[논평] 김진하 ‘오색케이블카 군수’ 징역 확정… 이제 ‘구속된 설악산’을 자연에 돌려줄 때
2025년 6월 26일, 춘천지방법원 속초지원은 뇌물수수 및 강제추행 혐의로 기소된...
[기자회견문] 설악산은 울고 있다. 환경부는 누구를 위해 존재하는가?
오늘 우리는 국민과의 약속을 헌신짝처럼 버리고, 설악산 파괴의 길을 터준 환경부와 그...
[성명서] 정부는 법치를 짓밟는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공사를 즉각 중단하라!
설악산이 법과 원칙을 무시한 공사로 신음하고 있다.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자 양양군은...
[보도자료]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조건부 동의’, 결국 면죄부였나…국민행동, 원주환경청장 면담 결과 공개
국가유산청은 ‘공사 중단’ 명령하는데…원주환경청은 “지켜보겠다” 뒷짐 ‘조건부 협의’는...
산불 이후 며칠, 몇 주, 몇 년의 현장을 살펴보다.
경북 산불이 발생하고 일주일이 되던 날, 녹색법률센터는 녹색연합 서재철 전문위원과 피해...
[논평] 정치 비호와 ‘조건 돌려막기’로 버틴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10년의 기만극 끝낼 때
결국 우려가 현실이 됐다. ‘조건만 지키면 괜찮다’던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이 그...
[기자회견문] 설악산의 돌이킬 수 없는 파괴를 막기 위한 법원의 현명한 결단을 촉구한다!
오늘 우리는 대한민국 자연유산의 심장인 설악산을 파괴하려는 시도에 맞서, 비통한...
[보도자료]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
설악산국립공원의 회복 불가능한 환경 손해 막기 위한 긴급 조치 필요 ‘공원사업시행허가’...
[성명서]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공사 중단은 ‘총체적 무능’의 증거, 완전한 백지화를 촉구한다.
어제, 국가유산청이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희귀식물 이식 공사에 대해 '공사...
[성명] 해수부와 환경부, 전방위적 해양보호구역 관리 개혁이 절실하다
전남 완도군 금당도 주변 연산호 보호구역 인접 해역의 양식장 [성명] 해수부와 환경부,...
[기자회견문] 양양관광개발공사 설립 무산으로 그 실체가 드러난 오색케이블카 사업의 즉각적인 중단과 책임자 처벌을 촉구한다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은 최초 460억 원의 사업비 중 국비 50% 지원이라는 장밋빛...
[보도자료] 양양관광개발공사 설립 무산, 양양군이 문제 알고도 강행한 ‘예견된 실패’
국민행동, 강원도가 이미 1년 전 ‘사업성·운영’ 문제 지적한 문건 공개 양양군, 지적...
[논평] 제10차 OOC, 바다를 위한 약속은 즉각 지켜져야 한다
[논평] 제10차 OOC, 바다를 위한 약속은 즉각 지켜져야 한다 ㅡ 개최국...
[보도자료] 제10차 Our Ocean Conference에서 한국 해양 시민사회단체 ‘바다를 위한 시민사회의 요구’ 발표 기자회견 열어
지속가능한 바다를 위한 4개 주제 15개 요구사항 제시 기후위기 및 해양오염...
[기자회견문]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국립공원 케이블카 확대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국립공원의 심장에 케이블카라는 칼을 꽂으려는 시도를 당장...
OOC공동행동네트워크 – 바다를 위한 한국 시민사회의 요구 및 이슈페이퍼
Act Now for Our Ocean Commitment바다를 위한 우리의 약속,...
[기자회견문] 바다를 위한 한국 시민사회와 국회의 요구
기자회견문 4월 28일 부산에서는 제10차 아워오션컨퍼런스(Our Ocean...
[성명서] 환경부는 국립공원 케이블카 규제 완화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
지난 4월 4일, 환경부가 국립공원위원회에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정책을 전면...
[기자회견문] 대통령 파면! 군수 구속! 관광공사 설립 무산! 명분도 동력도 잃은 설악산오색케이블카 사업 백지화하라!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사업은 윤석열 정부 출범 당시 "무조건 추진"이라는 정치적 공약으로...
[기고] 백두대간에서 다시 만날 세계
지리산의 풍경 현장조사를 다녀오는 날에는 마음이 무겁다. 산속 깊이...
[기자회견문] 가덕도 신공항은 위헌이다!
가덕도신공항반대시민행동은 2024년 3월 26일, 1028인의 국민소송인단을 원고로...
[성명] 정선군민과 함께하는 가리왕산 복원, 이제 시작이다!
어제(3월 24일) 가리왕산 합리적 보전·활용 협의체(이하 협의체)는 합의문 서명식을...
[기고] 보호지역을 보호지역답게
'페이퍼 컴퍼니'도 아니고 '페이퍼 파크'라니? 가상공간인가? 아니다. 유려한 경관과...
[논평] BBNJ 협정 비준, 해양 보호 정책의 실질적 강화가 수반되어야
녹색연합은 13일 대한민국 국회가 ‘국가관할권 이원지역 해양생물다양성 보전 및...
[보도자료] <페이퍼파크를 넘어 생명의 공간으로> 육상보호지역 관리제도 개선방안 국회토론회 열려
육상보호지역 관리제도 개선을 위해 국회와 시민사회,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였다....
[성명] 개발제한구역 해제가능총량 확대 방침에 대한 시민사회성명
개발제한구역 해제가 경제정책? 근시안적인 정책추진 중단하라! 25일, 정부는...
[기고] 윤석열과 함께 탄핵되어야 할 정책 ④ 국가가 주도해 온 반환경 개발사업
▲새만금 수라갯벌 상공 버드스트라이크 / 새만금시민생태조사단 오동필 조류 충돌은...
[기자회견문] 윤석열과 함께 탄핵되어야할 환경정책
2024년 8월 헌법재판소는 국내 첫 ‘기후헌법소원’에 대해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
[성명] 설악산 울산바위 케이블카 설치 계획 즉각 중단하라
강원특별자치도가 또 다시 설악산을 환경 훼손 논란의 중심으로 몰아넣는 케이블카 사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