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요청서] 호수로 변한 4대강의 변화 - 현장조사 결과 기자회견 ◆ 일시:...
녹색배달부가 추진하는 우리 동네 모임 시흥편!
배달부일은 그만 두었지만 7월의 배달부모임에 다녀왔다. 7월에...
녹색연합과 카톡친구 맺어요~
드디어 녹색연합도 카카오톡을 시작합니다. 녹색연합과...
우리가 만드는 생물다양성 지도, 바이오블리츠 내성천 참가자모집
우리가 만드는 생물다양성 지도, 바이오블리츠 내성천 우리나라에 하나뿐인 모래강 내성천....
[작은것이 아름답다] “꽤 쓸만한 대안, 숲을 살리는 재생복사지” 캠페인을 시작합니다!
[보도자료] "꽤 쓸만한 대안, 숲을 살리는 재생복사지" 캠페인을...
[24절기] 곡우에서 대서까지…
올해 녹색연합에선 녹색아카데미를 통해 24절기를 공부하는 시간도 갖고 홈페이지에선...
국가 정책을 방관하는 건 찬성과 마찬가지다! -탈핵영화제2 <도쿄핵발전소>
<도쿄 핵발전소>영화를 보면 원전에 대한 상식과 위험성을 자연히...
제 2, 제 3, 제 4의 세월호를 막기 위해
안그래도 무더운 날씨에 불쾌지수를 한껏 높여주는 소식을 듣습니다. 세월호 진상조사특위의...
7월 22일, 위험을 멈추는 시민행동
제대로된 특별법을 만들고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시민들의 참여를 기다립니다....
그러니 그대, 사라지지 말아라⑤수백만년의 역사가 만든 보물, 좀수수치
지구에서 20분마다 생물종이 한 종씩 영원히 사라질 정도로 생물종다양성...
[성명서]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 개최국 한국, 나고야 의정서에 비준도 하지 않아
CBD한국시민네트워크 (110-806)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하동 251번지...
완공 3년차, 4대강에 이사 온 큰빗이끼벌레.
여름입니다. 당연한 듯 다시 찾아온 녹조와 함께, 올해는 큰빗이끼벌레라는 생물이...
바다에 가라앉은 150억, ‘너구리’탓만은 아니다
-제주 해군기지, 태풍 때마다 피해... 입지타당성 전면 재검토해야- ▲ 태풍...
[보도자료] 낙동강 녹조, 시기는 빨라지고 발생량은 크게 늘어났다.
2012-14년 낙동강 녹조 비교 시기는 빨라지고, 발생량은 크게 늘었으나, 정부는...
녹색연합을 만난 뒤, 회원님 삶은 얼마나 변했나요?
녹색연합을 만난 뒤, 회원님 삶은 얼마나 변했나요? 녹색연합은 회원의 의견을 통해...
[녹색+액션 7월] 여름휴가를 계획중이라면, 꼭 챙기셔야죠~!
1.내가 더 행복한 여행, 녹색여행 기차로, 자전거로, 때로는 걸어서 일상의 속도를...
[녹색+인포 6월]굿바이 노후원전! 굿데이 대한민국
1.[누크노크 E-Book]핵발전과 방사능에 대한 진실을...
[녹색+액션 6월]자연에 대한 으~리를 지키는 3가지 액션
녹색+액션 *가리왕산 숲을 살리는 모금 3일간...
우리 집 전기 절감 목표는 몇 퍼센트?
[note] 2014 성북절전소 : 절전소는 발전소 대신 에너지를 만드는...
다시 만난 녹색 – 정선빈 회원을 만나다
지금 잠시 녹색연합을 떠나 계신 회원님들이 있습니다. 경제 사정이 어려워지신 분들도...
[문화만남]발전소는 어떻게 미술관이 되었을까?
작은 더위, 소서가 지나고 진짜 여름이 훅 들어왔네요. 아직 잽을 날릴 준비가...
아이들의 건강한 여름을 위하여!
6월 28일, 토요일 오후. 벌써 다섯번째 맞는 자원활동가들의 모임, 남 좋은 일 하는...
탈핵영화제2. <도쿄 핵발전소> 보러오세요.
도쿄에 핵발전소를 만든다?! 핵발전소 유치와 에너지 문제를 정면으로 다룬 일본 화제...
6월을 지킨 아름다운지구인!
정부지원금 0원, 아름다운 지구인의 힘으로 녹색을 지킵니다! 2014년...
2014년 6월 아름다운지구인이 되셨습니다!
김동욱 민손영 ...
[기자회견문] 박근혜정부는 제 2의 4대강사업, 댐 정책을 철회하라!
박근혜 정부는 제 2의 4대강사업, 댐 정책을 철회하라! 제 2의...
밀양 시즌2를 위한 다방마실
9년동안 이어져 온 밀양 765kV송전탑 공사 반대 싸움. 강산도 변한다는 이 긴...
6월 살림살이 보고
[작은것이 아름답다] 빗방울달 7월호가 나왔습니다!
특집 <반갑다! 꾸러미> 7월 빗방울달 <작은것이 아름답다>는...
구만리 생태농활 프로그램
10년 가까운 세월을 골프장 건설에 반대하여 생업을 포기하다시피 하며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해 싸워온 구만리 주민들의 가슴아픈 사연을 만나러 갑니다. 골프장으로 인하여 언제 파괴될지 모르는 구만산의 아름다운 경관과 지역주민들의 아픔을 느끼고, 그 아픔을 통하여 우리가 지켜야 할 진정한 가치가 무엇인지 여러분과 함께 찾아가는 시간을 갖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