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25일 보도자료를 통해 금강유역물관리위원회(이하 ‘금강유역위’)가 세종보...
금강, 영산강 유역물관리위원회 보 처리방안 원안 확정하라
[기자회견문] 금강, 영산강 유역물관리위원회 보 처리방안 원안 확정하라...
[성명]국회 기후비상 결의안 가결_기후위기 비상상황 선포, 이제 선언을 넘어 행동이 필요하다.
오늘 국회는 본회의를 열어 "기후위기 비상대응 촉구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기후위기...
[성명서] 한전의 해외 석탄발전사업 투자 중단 촉구
해외석탄 고집하는 무책임한 정부를 규탄한다 지난 18일 오전 국회...
[성명] 코로나시대, 실효성 있는 자원순환 정책 대전환 계획 수립을 촉구한다
오늘(23일), 환경부는 폐기물 발생부터 최종 처리까지 종합적 개선방안을 담은...
[보도자료] 말로만 기후대응, 뒤에선 석탄금융 앞장서는 금융기관 강력 규탄한다!
탈석탄 금융 한다더니 … 삼척 석탄발전에 투자하는 금융기관들 말로만 기후대응, 뒤에서는...
[기고] 용산기지 터, 100년만 그대로 두자
[용산공원을 상상하다③] 나미나, 배성미 작가가 본 미군기지...
[기고] 지구온난화는 핵발전소 위협한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후위기의 징후는 우리에게 서서한 듯 했으나 이젠 급속도로...
[보도자료] 제인 구달, 녹색연합에 “한국 사육곰 산업 종식” 바람 담은 영상 메시지 보내와
세계적인 동물학자이자 환경운동가 제인 구달 박사가 한국 사육곰 산업 종식을 바라는...
2020년 8월 후원자 명단
정부지원금 0원,아름다운 지구인의 힘으로 녹색을 지킵니다!Ctrl + F 키를 누르고...
2020년 8월 신입회원 명단
정부지원금 0원,아름다운 지구인의 힘으로 녹색을 지킵니다!Ctrl + F 키를 누르고...
10월 기후행동학교 – 지금, 우리 바다에는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을까?
기후행동학교는 기후위기 속 우리가 해야 할일을 배우고 고민하며 실천하고 싶은 시민들의...
[설문] 코로나시대, 배달쓰레기를 진단한다
로드 중…
[모집]기후위기로 인한 인권침해 시민참여 조사
기후변화 속 당신의 인권은 안녕한가요? 기후변화는 자연재해가 아닌 인간이 만든,...
[활동]9.12 전국 동시다발 기후위기 비상행동
지난 9월 12일에는 전국적으로 동시다발 기후위기비상행동이 진행되었습니다. 코로나19로...
[보도자료] 국내 원전뿐만 아니라 미국 원전들도 침수와 강풍에 정지
미국 원전들도 지난 7-8월 침수와 강풍에 줄줄이 정지 신용평가사 무디스도 미국 원전...
[기고] 특이하게 남은 서울 마지막 녹지, 이렇게 쓰면 된다
[용산공원을 상상하다②] 생명의 숲 최승희 선임활동가 인터뷰...
[캠페인] 제주 제2공항 소책자 함께 읽기!
제주 제2공항, 여러분의 관심과 감시가 필요합니다!! 국토부와 제주도가 도민 공론화...
9/12 전국 동시다발 기후위기 비상행동 “우리는 살고 싶다”
코로나, 폭염, 폭우 그리고 기후 비상입니다. "우리는 살고 싶습니다." 이번 달,...
[카드뉴스] 미세플라스틱의 주범, 스티로폼
[보도자료]미세플라스틱 주범인 스티로폼, 제주 해양생태계 빨간 불
-미세플라스틱 쉽게 발견, 스티로폼 가장 많지만, 미세플라스틱 완전히 수거할 수 있는...
기후위기 시대의 해법 ‘퍼머컬처’
지속가능한 삶, 퍼머컬처 (Permerculture) 지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성장이라는...
녹색희망 272호 <맺으며>
작은일 활동가 까르 인터뷰
작은일 활동가 까르 인터뷰 -적게 소비하고 풍요롭게 살아가기 바쁜 일상에 치이며 살다...
더이상 크리스마스 트리를 볼 수 없겠습니다
지리산, 한라산 등지의 구상나무 군락지 나무들은 빠른 속도로 하얗게 마르며 종의 절멸에...
언제까지 어려울 것인가, 핵발전의 끝맺음
지난 7월10일 핵폐기물 공론화가 진행되던 날 온라인 화상송출 장소 앞에서의 항의시위...
[보도자료] ‘푸른하늘의 날’ 국내 최대 탈석탄 캠페인 ‘석탄을 넘어서’ 발족
ⓒ석탄을 넘어서 ‘푸른하늘의 날’ 국내 최대 탈석탄 캠페인 ‘석탄을 넘어서' 발족 한국...
2020년 8월 살림살이 보고
[기고] 공원으로 바뀌는 용산기지, 사라진 마을 이야기
[용산공원을 상상하다①] 김천수 용산문화원 역사문화연구실장 인터뷰...
용산 미군기지의 온전한 반환을 희망한다
미군이 떠난 자리 2000년대 중반, 평택은 미군에게 새롭게 360만 평의 땅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