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재자연화시민위원회 보도자료] 세계습지네트워크, 람넷재팬 등 국제NGO, 보...
[보도자료]정부, 대기 중 발암물질과 오존 원인 물질 측정소 관리 엉망
-특정대기유해물질 측정하는 유해대기측정망 부산 연산동 12개월 내내 가동 중단되거나 월...
기후변화와 미세먼지 대응, 소득재분배에 역행하는 전기요금 누진제 개편안
기후변화와 미세먼지 대응, 소득재분배에 역행하는 전기요금 누진제 개편안 - 여름철...
[성명] 가리왕산, 국립복원센터를 제안한다
가리왕산, 국립복원센터를 제안 한다. 가리왕산 전면 복원하라! ...
영화 <핵마피아>를 보며 함께 나눈 탈핵 이야기
5월의 마지막 금요일 밤, 녹색연합은 아리랑시네센터와 함께 탈핵 영화...
설악산 케이블카, 이제는 끝내야 할 때!
설악산케이블카 백지화 끝장 투쟁 선언 지난 5월 16일, 설악산케이블카 사업자 양양군이...
[보도자료] 설악산케이블카 백지화 끝장 투쟁 선언
설악산케이블카 백지화! 끝장 투쟁 선언 기자회견 – 문재인 정부가 설악산케이블카사업에...
[기자회견문] 지역주민·시민사회 배제한 사용후핵연료 재검토위원회 출범 규탄한다!
오늘(5월 29일) 산업부는 ‘사용후핵연료 관리정책 재검토위원회’ 출범식을...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좋은 길, 굿로드 캠페인
...
함께 걸어서 즐거웠습니다. 건강한 금강을 만나서 반가웠습니다.
5월 25일, 눈이부시게 아름다운 금강을 함께 걸은 시민들의 이야기를...
[기후변화대응 | 탈석탄] 우리가 지금 할 수 있는 일은?
석탄, 석유, 가스 등 화석연료에 기대어 경제 발전을 이룬 지난 100년....
[성 명] 국방부 부지 오염, 철저한 환경조사와 재발 방지 대책 마련하라!
용산 국방부 부지의 일부가 기름 오염으로 논란이 되었던 반환된 유엔사보다 훨씬 심각하게...
[기자회견문] 무면허·무사안일 사고, 한빛 1호기 문 닫아라
영광(한빛) 1호기에서 있었던 원자로 출력 급증 사건. 원자로 출력이 급증하는 일은...
[보도자료]환경부, 곰 불법 증식 수년간 방치
환경부, 곰 불법 증식 수년간 방치 - 16년부터 매년 불법 증식, 적발된 개체만...
4대강의 힘찬 흐름은, 왜곡과 거짓의 목소리를 쓸어버리고, 생명의 진실을 회복할 것이다.
생명의 4대강 회복을 위한 종교인 기자회견 -4대강 진실을 왜곡하는...
공장의 발암물질 배출… 기업들은 왜 측정조차 안 할까
공장의 발암물질 배출... 기업들은 왜 측정조차 안 할까 - 대기오염물질 배출, 그리고...
춘천~속초 고속화철도의 전략환경영향평가 통과에 관한 입장
지난 30일, 설악산국립공원을 관통하는 동서고속화철도사업이 전략환경영향평가를 통과했다....
끝나지 않은 체르노빌, 핵발전을 멈추는 것만이 답이다
[체르노빌 33주기 기자회견문】 체르노빌, 후쿠시마로 이어진 핵발전소 사고의 비극을...
[보도자료]대기오염 발암물질, 측정조차 하지 않는 기업 드러나
대기오염 발암물질, 측정조차 하지 않는 기업 드러나 - 지난 주 기업들의 대기오염배출량...
야생동물의 이동은 자연의 질서이자 그들의 역사입니다.
두꺼비는 산란 시기에 물이 있는 습지로 이동하고, 고양잇과의 삵은 2~3km 정도를...
[성명서] 대한민국의 환경문제, ‘지구의 날’이 전환점이어야 한다.
2019년 ‘지구의 날’ 주제는 ‘Protect Our Species’다. 생물종...
[공동성명] 3차 에기본 정부안, 온실가스 감축 정책은 어디로?
<시민사회단체 공동성명> 3차 에너지기본계획안, 기후변화 대응 포기하나...
미 공군 군산비행장 송유관 관리부실
- 2003년부터 기름 유출 피해 속출 - 공여지 절차 없이 미군 무단 사용에...
세월호 참사 5주기, 더 이상 옛날의 4월이 아니듯, 한국사회도 지난 날과 달라져야 합니다.
세월호 참사 5주기, 더 이상 옛날의 4월이 아니듯, 한국사회도 지난 날과 달라져야...
공론화 취지를 무시한 산업부의 사용후핵연료 재검토위원회 계획
기계적 중립·행정편의주의적 재검토위원회 계획 규탄한다.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기후변화 고산침엽수 떼죽음 전면화
기후변화 고산침엽수 떼죽음 전면화 지리산, 오대산, 태백산, 설악산 등 고산침엽수...
구상나무가 멸종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해발 1,000m 이상 고지대의 척박한 환경에서 집단 서식하는 우리나라 고유종인...
4대강 보 해체를 해야 하는 이유
Q: 4대강을 살리는 것은 옳은 일이라고 생각해요. 그런데 보를 개방하면 되지 왜...
[논평]‘쓰레기 대란’ 후 1년,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사용 시스템 확립이 시급하다.
2030년까지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 50% 줄이려면 ‘원천 감량’의 의미 되새겨야...
[성명]정부 주도 평화둘레길, 보전 대책 없는 DMZ 개방
정부 주도 평화둘레길, 보전 대책 없는 DMZ 개방 - 생태계 파괴와 난개발 불 보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