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일회용을 거부할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일회용 없는 서울, 어떻게...
플라스틱
서해반짝! 뜻깊은 활동에 참여하게 되어 기뻤습니다.
추석 연휴를 앞둔 지난 9월 18일 서울, 인천, 세종, 전국 각지에서 모인 시민들이...
[논평] 공공 배달앱의 다회용기 도입을 환영한다.다회용기 도입은 배달3사에 확대되어야 한다.
오늘(6/25) 경기도 공공배달앱 배달특급이 다회용기 도입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화장품 어택★ 화장품 빈용기 수거!
★화장품 어택★ 화장품 빈용기 수거! ⚠️샴푸 바디워시 면도 쉐이빙 폼 등의 바디케어...
믿기지 않지만… 하루 만에 ’63빌딩 4개 높이’가 소비됐다
믿기지 않지만… 하루 만에 '63빌딩 4개 높이'가 소비됐다코로나19 이후 1년…...
[성명]법 개정 2년 만의 선언, 또다시 2030년까지 기다리라는 것인가! 화장품 업계의 실효성 없는 선언을 규탄한다.
오늘 (1월 27일) 대한화장품협회는 <2030 화장품 플라스틱 이니셔티브...
[보도자료] 녹색연합, <플라스틱 이슈리포트-생분해 플라스틱의 오해와 진실> 발간
녹색연합, <플라스틱 이슈리포트-생분해 플라스틱의 오해와 진실> 발간...
[카드뉴스]생분해 플라스틱, 친환경이라 생각해?
배달맛집그런데쓰레기는
2020년 8월 기준, 배달음식 매일 270만건 주문, 일회용 배달용기가 매일 최소...
[설문조사]생분해 플라스틱에 관한 시민인식조사
생분해 플라스틱은 식물성 수지를 이용해 만들고 사용 후 매립 등 퇴비화 조건에서...
#배달맛집그런데쓰레기는
배달음식 1회용품 이제 그만!배달할수록 쓰레기 쌓이는 사회, 시민들은 강력한 대책을...
[카드뉴스] 생분해 제품 친환경일까?
[보도자료]미세플라스틱 주범인 스티로폼, 제주 해양생태계 빨간 불
-미세플라스틱 쉽게 발견, 스티로폼 가장 많지만, 미세플라스틱 완전히 수거할 수 있는...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있으니까요! – 미세플라스틱을 함께 주운 이야기
제주 출발 전 계획을 짜던 중 <플라스틱 없는 제주> 캠페인을 발견했어요....
‘플라스틱 없는 제주’- 우리가 버린 미세플라스틱 줍기 캠페인
쓰레기가 가득한 바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없을까요? 거북이 코에 꽂힌 빨대,...
[회원인터뷰] 지구가 웃는 그 날까지, 쿠라지Courage!
*프랑스식 불어로는 '꾸하즈'라고 발음하지만 여기서는 부르키나파소 보보에서 친구들과...
1회용컵 보증금제 담은 자원재활용법 개정안, 환노위는 조속히 통과시켜야 한다.
2월 18일(화), 환경노동위원회는 법안심사소위원회를 열어 1회용컵 보증금제를 담은 ...
[서명 참여] 환경부가 배달 1회용품을 규제하도록 당신이 함께 요구해주세요.
배달음식 1회용품 이제그만! 서명 하기 2018년 기준 배달앱 하루 주문량...
플라스틱 사서고생 캠페인 참여 시민, ‘플라스틱에 유별난 씨’와의 인터뷰
☞ 플라스틱 사서고생① 선별장에 배달 용기 쓰레기가 쌓여 있다고요? ☞ 플라스틱...
[보도자료] 서울시 축제, 1회용품 줄이기 실효성 없다.
서울시 축제, 1회용품 줄이기 실효성 없다. ...
플라스틱 사서고생③ 시민이 직접, 기업에 요구해보았습니다.
녹색연합 <플라스틱 사서고생> 캠페인! “너무 더워서 나가긴 싫고, 집에서...
플라스틱 사서고생② 배달 플라스틱, 무엇이 문제일까요?
쓰레기 대란 이후, 정부의 규제는 조금씩 개선되거나 강화되었다고 하지만, 우리 일상에서...
플라스틱 사서고생① 선별장에 배달 용기 쓰레기가 쌓여 있다고요?
녹색연합은 지난 2017년, 시민들과 함께 <쓰레기 탐사대>를 꾸려 쓰레기...
[캠페인] 배달 쓰레기 안 사고 싶은 사람을 찾습니다!
전 세계에서 생산된 플라스틱 폐기물의 47%가 포장재라는 사실 알고 계신가요?...
[논평] 비닐 포장 쓰레기 없는 사회, 생분해 플라스틱으로는 앞당기기 어렵다.
7월 3일은 세계 비닐 없는 날, 비닐 포장 폐기물 줄이려면 제도적 보완 필수 현재...
[모집] 플라스틱에 관한 수다, 함께 나누실래요?
바다로 흘러드는 플라스틱 쓰레기로 고통받는 야생동물들이 안타깝고, 아무런 제재 없이...
[녹색순례2일차] 화석연료의 편리함에 대한 대가, 감당할 수 있을까?
화석연료의 편리함에 대한 대가, 감당할 수 있을까? - 공장의 굴뚝과 바다 거북이를...
배달 쓰레기, 그것이 알고 싶다!
♻️플라스틱 사서 고생 캠페인 퇴근하고 집에 와서 식사를 준비하는 게 쉽지 않습니다....
[논평]‘쓰레기 대란’ 후 1년, 쓰레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사용 시스템 확립이 시급하다.
2030년까지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 50% 줄이려면 ‘원천 감량’의 의미 되새겨야...
[토론회]재사용 법제 개선으로 플라스틱 줄이자!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재사용 REUSE'의 위상을 다시 세우는 활동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