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주식투자? 비트코인? 왜 투자하면 그런 🤑것들만 떠올려? 🦌자연보호에 투자!...
[보도자료] 녹색연합, 제주 연안 조간대 43곳 갯녹음 조사 결과, 제주 남부 서귀포시 권역 해조류 회복력 상실해
< 전체내용 확인링크 > < 첨부자료 링크 > 녹색연합, 제주...
[성명서] 가시화되는 차기 정부의 핵발전 확대 움직임은 중단되어야 한다.
[성명] 가시화되는 차기 정부의 핵발전 확대 움직임은 중단되어야...
[후원후기] 녹색연합처럼 환경을 위해 열심히 실천할게요!
지난 연말, 정릉초 4학년 4반 어린이들이 아나바다 장터를 통해 얻은 수익금을 모두...
[강연] 조효제 교수 / 인간을 차별하면서 지구를 지킬 수 있을까?
조효제 선생님의 책 <침묵의 범죄, 에코사이드> 출간을 맞아 녹색연합과...
[공동성명] 녹색분류체계에 원전 포함 시키려는 무리한 시도 중단하라
녹색분류체계에 원전 포함 시키려는 무리한 시도 중단하라 – 폐기물·안전문제 등 원전은...
[기고] 윤석열 당선자는 용산이란 곳을 모른다
지난 20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새 집무실을 용산 국방부 청사로 옮기겠다고...
[기후위기 최전선, 제주바다 인터뷰] (6) 기후변화와 산호 생태를 추적하는 현장 연구자 _황성진 우석대학교 생명과학과 조교수
[기후위기 최전선, 제주바다 인터뷰] ‘해조류의 대량 소멸현상’ 해조류가...
[기고] “35년째… 핵발전소로 인한 분열, 더 이상은 안 된다”
[기고] "35년째… 핵발전소로 인한 분열, 더 이상은 안 된다" [인터뷰] 핵으로부터...
[보도자료] 토론회 ‘도로, 철도 유휴부지를 활용한 재생에너지 확대방안’
녹색연합은 4월 8일(금) 류호정 국회의원실과 도로, 철도 유휴부지를 활용한 재생에너지...
[보도자료] 녹색연합, 시민과 함께 울진삼척 산불 산양 긴급 구조 활동
멸종위기Ⅰ급 야생동물 산양 먹이주기 활동 진행울진삼척 산불로 멸종위기 산양 주요 서식지...
[기후위기 최전선, 제주바다 인터뷰] (5) 서귀포 섶섬의 물고기를 기록하는 시민과학자_김상길 굿다이버 대표
[기후위기 최전선, 제주바다 인터뷰] ‘해조류의 대량 소멸현상’ 해조류가...
[기자회견] 석탄에 대한 투자는 더이상 용납될 수 없다!
석탄에 대한 투자는 더이상 용납될 수 없다! NH투자증권 · 미래에셋증권 ·...
[보도자료]울진·삼척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산불피해와 복원
사진1. 울진‧삼척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 금강소나무 산불피해 모습 3월 4일 시작된...
[기후위기 최전선, 제주바다 인터뷰] (4) 바다와 육지 사이, ‘이곳’에 감춰진 놀라운 세상이 있다_임형묵 자연 다큐멘터리 감독
[기후위기 최전선, 제주바다 인터뷰] ‘해조류의 대량 소멸현상’ 해조류가...
2022년 3월 신입회원 명단
정부지원금 0원,아름다운 지구인의 힘으로 녹색을 지킵니다!Ctrl + F 키를 누르고...
2022년 3월 후원자 명단
정부지원금 0원,아름다운 지구인의 힘으로 녹색을 지킵니다!Ctrl + F 키를 누르고...
[재공지]2022년 녹색연합 신입활동가 공개 채용(~4/15)
녹색연합은 1991년 창립하여 우리나라 자연을 지키는 환경단체입니다. 우리는 생명존중...
녹색희망 284호 <공항이 들어선 자리>
[기후위기 최전선, 제주바다 인터뷰] (3)제주 4.3과 감태, 해민(海民)의 생활사_고광민 서민 생활사 연구자
[기후위기 최전선, 제주바다 인터뷰] ‘해조류의 대량 소멸현상’ 해조류가...
[성명] 매장 내 일회용컵 사용 금지 정책은 시행되어야 한다.
내일(4월 1일)부터 카페 등 식품접객업 매장 내 일회용컵 사용이 금지된다. 코로나19...
[신청] 산불로 서식지를 잃은 울진 산양들을 위해 긴급 구조 활동에 함께 해주세요!
지난 4일 발생한 울진 산불로 멸종위기종1급 산양의 서식지가 위기에 처해...
[응원요청] “쓰레기 버리지 않을 권리, 시민이 되찾아요!”
최근 기업들은 도시락 김 트레이, 제과점 빵칼, 요구르트 빨대, 스팸 뚜껑 등을 뺀...
[렛츠워크] 걸음으로 녹색연합 활동 후원하기!
혹시 걷는 것 좋아하시나요? 그렇다면 눈여겨봐주세요! 걸음으로 녹색연합...
[기후위기 최전선, 제주바다 인터뷰] (2) 마라도 미역의 행방불명_제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강정찬 박사
[기후위기 최전선, 제주바다 인터뷰] 연재에 앞서 ‘해조류의 대량 소멸현상’ 해조류가...
[참여] 사육곰과 함께 하는 봄-곰과함께
올해도 어김없이 돌아왔습니다. '반이, 달이, 들이'를 이번에는 새 기운 가득한 봄에...
[기고] 도로를 친환경발전소로
도로에서 만나는 재생에너지 건축물 유리창이나 투명 방음벽 등에 부딪혀 죽는 야생조류는...
[성명서]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지역 에너지정책 무시하고 국민안전 위협하는 핵 발전 공약, 핵산업 육성 전략을 폐기하라.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은 지역 에너지정책 무시하고 국민안전 위협하는 핵발전...
[논평] 배달앱 3사, 음식배달 다회용기 시범사업 참여를 환영한다.
오늘(3/25), 서울시는 배달플랫폼 4곳과 함께 음식 배달 시 다회용기를 사용하는...
[기고] 안전한 원전신화는 이미 깨졌다. 탈핵이 필요한 이유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의 29%는 해안가에 위치한 핵발전소에서 만들어진다. 핵발전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