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진 산양공존센터 12년만에 개소, 환경부의 책임감 있는 멸종위기종 보호...
생물다양성
기후위기 생물다양성 시민과학 세미나
기후위기 적응의 핵심과제인 생물다양성 보전과 증진이 절실한 가운데,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여 기후위기 적응에 대처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합니다.
[보도자료] 2022년 기후위기 금강소나무 고사 실태
기후 스트레스로 소나무가 죽어가고 있다. 백두대간과 낙동정맥의 주요 생태축에서...
[성명] 제5차 유엔해양생물다양성협약 체결 결국 무산
기후위기 시대, 해양보호구역은 지구를 위한 최후의 보호구역 될 것 자국의 이익 아니라...
[보도자료] 지리산 구상나무 집단 고사 지도 작성, 기후위기로 인한 집단고사 가속화 확인 돼
지리산 구상나무 집단 고사 지도 작성,...
[모집]녹색연합 기후위기 시민과학 모니터링 모집
녹색연합 기후위기 생물다양성 시민과학 모니터링 모집 “2022년 한반도의 여름은 폭염과...
[보도자료] 갈곳 잃은 울진 산양, 보호 대책 시급
갈곳 잃은 울진 산양, 보호 대책 시급 - 3월 울진삼척산불로 멸종위기종 산양 서식지...
[울진산불현장 참가후기] 함께 했던 발걸음 오래도록 기억하겠습니다.
지난 6월 25일 토요일, 장마 속 햇살이 유난히 반짝이던 날, 녹색연합은 시민들과...
생물다양성 보호를 위한 보호지역, 쓰레기섬으로 변해
보호지역 늘었다지만 전체 보호지역의 37%가 부처별 중복 지정, 관리 안되는 사각지대...
2022 그린백패커 모집 <백두대간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
초보 백패커의 발걸음으로 이어가는 백두대간 주최 : 녹색연합후원 : 제로그램협조 :...
[성명]지구의 날, 더 이상의 축제는 없고 파국을 막는 일만 남았다.
올해로 52주년을 맞은 지구의 날, 우리는 다시 묻는다. 기후와 생물다양성 위기 앞에...
현실에는 있지만 대선에는 없는 기후위기와 생물다양성위기 – 20대 대선후보 환경 관련 질의내용
현실에는 있지만 대선에는 없는 기후위기와 생물다양성위기녹색연합이 질의한 20대 대선...
무너지는 지리산
기후위기로 지리산국립공원에 산사태가 확산되고 있습니다.지리산 정상봉인 천왕봉 주변에...
[성명]탄소흡수 산림기능, 생물다양성과 공존해야한다
-30년 넘은 숲 쓰레기 취급, 국립산림과학원의 무지와 몽매-나무만 보고 숲은 못보는...
[기자회견] 2020년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 위협받는 제주의 생물종을 지키자!
<생물다양성의 날 퍼포먼스> 죽음의 활주로를 멈춰라! 일시 : 2020년 5월...
10/16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소식
* CSO(비정부기구회의) 아침 회의 - 16일 고위급회의(High...
10/10 생물다양성협약당사국총회 소식
* CSO(시민사회조직) 아침 모임 - 회의 진행자인 애쉬가...
[취재요청]CBD COP12 한·일 시민사회 공동선언 및 퍼포먼스
취재요청 CBD한국시민네트워크 일 자 2014. 10. 12 담당자...
10/8 생물다양성협약당사국총회 소식
* CSO(시민사회조직) 아침 모임 - 지속가능한 개발목표(SDG)에 대한 지표를...
생물다양성을 위해 핵발전 재검토를 촉구하는 한-일 시민사회 공동제언문
<생물다양성을 위해 핵발전 재검토를 촉구하는 한-일 시민사회 공동제언문>...
[취재요청]제주 강정, 오키나와 군사기지 피해주민의 공동의 목소리 “군사기지 건설로 인해 섬 생물다양성이 위협받고 있다”
제주 강정, 오키나와 군사기지 피해주민의 공동의 목소리 “군사기지...
[취재요청]생물다양성 없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개막식을 규탄한다
취재요청 생물다양성 없는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개막식을 규탄한다. ◆...
『CBD한국시민네트워크 한국생물다양성 보고서』 기자회견
『CBD한국시민네트워크 한국생물다양성 보고서』 발표 기자회견...
[성명서]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 개최국 한국, 나고야 의정서에 비준도 하지 않아
CBD한국시민네트워크 (110-806) 서울특별시 종로구 누하동 251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