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명] 화장품 용기 역회수 0kg, 실효성 없는 재활용 등급 표시 면제는 폐지되어야 한다.
화장품 용기의 역회수 실적이 0kg로 확인되었다. 재활용 등급 표시를 면제받고 역회수를...
[카드뉴스] 화장품용기, 재활용 어려움 표시 안해도 된다고요?
[카드뉴스] 재활용 선별장에서 화장품 용기는 어떻게 선별되고 있을까요?
[카드뉴스] 제주&세종 시민 82%, 1회용컵 보증금제 교차반납 필요
[보도자료] 제주, 세종 시민 82%, 1회용컵 보증금제 교차반납 필요
제주, 세종 시민 82% 교차반납 필요하다. 1회용컵 보증금제 시범사업...
[성명] 공공기관 청사 내 1회용 보증금컵 반입 허용을 중단하라.
1회용컵 보증금제를 위한 공공기관 1회용품 등 사용 줄이기 실천지침 개정은 중단되어야...
[보도자료] 하루 60건에 불과한 배달음식 다회용기 서비스, 적극적인 개선 대책이 필요하다.
일회용 배달용기, 1회용품 대상에 포함해 사용을 규제해야 한다. 다회용기...
[성명] 1회용품 규제 포기, 환경부는 존재를 스스로 부정했다.
오늘(11/1), 환경부는 '11월 24일부터 일회용품 사용 줄이기 시행'이라는...
[시민액션] 1회용컵 보증금제 교차반납 촉구하는 시행규칙 개정안 의견 내기
💢지금 당장! 시민 액션! 💢📣1회용컵 보증금제, 실효성 없는 브랜드 간 반납을...
[설문결과] 화장품 공병 반납해본 적 있나요?
[성명]1회용컵 보증금제 감사 결정, 감사원은 철저하게 감사하라.
10월 25일, 감사원은 1회용컵 보증금제 시행 유예의 건에 대한 감사를 결정했다....
[성명] 1회용컵 보증금제, 선도지역 교차반납 허용하라.
환경부는 1회용컵 보증금제가 적용되는 컵 반납에 있어 보증금 대상 사업자가 영업 표지가...
[성명] 2024년까지 기다릴 수 없다. 1회용컵 보증금제를 전면 시행하라.
오늘 환경부가 1회용컵 보증금제 전면 시행 일자를 2024년으로 예정하고 있다는 것이...
[신청] 녹색연합과 함께 하는 10월 컵줍깅
가을엔 컵줍깅이죠!!재활용되는 줄 알았던 1회용컵. 하지만 고작 5%만 재활용되고 있는...
[서명] 1회용컵 보증금제 전면 시행을 촉구합니다.
🥤연간 1회용컵 사용량 84억 개. ♻1회용컵 재활용률 5%. '1회용컵 보증금제'는...
[보도자료] 긴급국회토론회-1회용컵 보증금제, 이대로 갈 수 없다
1회용컵 보증금제, 이대로 갈 수 없다 -‘1회용컵 보증금제’ 두 번의 유예,-절차적...
[설문조사] 화장품 공병 반납한 적 있나요?
화장품 용기는 복합재질과 재활용이 어려운 구조로 만들어져 그 동안 재활용 선별장에서...
[국회 긴급 토론회] 1회용컵 보증금제 이대로 좋은가
지난 6월 10일 시행 예정된 1회용컵 보증금제가 다시 유예되어 좌초될 위기에...
[기자회견] 1회용컵 보증금제 정상화 촉구 시민사회 선언
<1회용컵 보증금제 정상화 촉구 시민사회 선언>■ 일시 : 2022년 8월...
[연명 요청] 1회용컵 보증금제 정상화를 촉구하는 전국 시민사회선언
커피 소비량이 늘어남에 따라 1회용컵 사용량이 급증하고 1회용컵의 부적정한 폐기로...
[성명] 박형준 부산시장 벌금 500만 원 구형, 법 장사에 골몰한 검찰을 규탄한다.
박형준 부산시장 벌금 500만 원 구형, 법 장사에 골몰한 검찰을 규탄한다....
[성명] 투명페트병 분리배출, 더욱 엄격한 배출기준과 관리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환경부는 어제까지(7월 14일) '워셔액 등 화학제품 무색페트병의 분리배출 표시...
[성명]1회용컵 보증금제 정상화를 촉구한다.
친기업 모델로 변형될 우려가 높은 1회용컵 보증금제, 1회용컵 보증금제 정상화를...
[신청] 플라스틱 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 모색 토론회
세계 각국은 플라스틱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지난 2월...
[보도자료] 투명페트병 별도 선별시설 16.7%에 불과해
공동주택 투명페트병 분리배출 의무화 제도가 시행된 지 1년이 지났지만 전국 선별장 중...
[성명] 매장 내 일회용컵 사용 금지 정책은 시행되어야 한다.
내일(4월 1일)부터 카페 등 식품접객업 매장 내 일회용컵 사용이 금지된다. 코로나19...
[논평] 배달앱 3사, 음식배달 다회용기 시범사업 참여를 환영한다.
오늘(3/25), 서울시는 배달플랫폼 4곳과 함께 음식 배달 시 다회용기를 사용하는...
[성명] 선거 공보물과 현수막, 시민들의 세금으로 만들었다. 쓰레기만 남는 선거 홍보는 중단되어야 한다.
지난 3월 2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선관위)는 ‘숫자로 보는 20대 대통령...
[성명] 환경오염 가중하는 폐현수막 재활용 국비 지원, 행정안전부의 그린워싱을 규탄한다.
오늘(3월 14일) 행정안전부는 환경오염을 줄이고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기 위한...